
나이 육십에는 해마다 늙고, 칠십에는 달마다 늙는다는데...

詩人 김달진(1907~1989)은
어느 글에선가 쓰기를.....
인생 60대는 해마다 늙고,
인생 70대는 달마다 늙고,
인생 80대는 날마다 늙고,
인생 90대는 시간마다 늙고,
인간 100세는 분마다 늙는다고 했다.
인생 70은 일흔 줄에서는 달마다 늙는다고 하며,
숙명적으로 생로병사의 정 코스를 달려가는 우리 인생.
예순쯤에는 해마다 주름 하나씩 늘면서
어딘가 노쇠의 증상이 나타난다는 의미를 내포한 말이려니,
따라서 1년에 한 번이라도 건강을 체크해 보면서 건강과
체력유지에 힘써야한다는 말일 것이다.
우리나라 남성들의 평균수명이 79.4세라는데
우리인생!
일흔쯤에는 달마다 신체기능에 이상이 오고 어딘가
치명적인 아픔이 꼭 온다는 말이다.
섭생과 운동에 힘써서 70 청춘을 구가하는 사람도 많지만
대부분 자신을 잃고 막연한 불안과 외로움 속에 하루하루
무의미한 세월 죽이기로 허송하고 있다.
늙어서 서러운 인생!
여든 줄에는 건네는 인사도
"밤새 안녕 하십니까?"로 변하고
죽어도 그만 살아도 그만인, 아흔 줄에는
시간마다 대소변,病 수발에 간병인이 있어야 하니
그 삶이 결코 축복일수 없고, 기쁨일 수 없는데 하물며,
百歲享壽를 바란데서야 어찌 욕심이라 않겠는가?
인터넷 어느 글에서 9988(아흔 아홉까지 팔팔하게)이란
실버(silver)들의 바람을 혹평한 글을 읽고 가슴이 아팠다.
病을 얻어 아파 누워서도 오래 살기만 바란다면 자식들에게
큰 짐이 되고 부담이 됨을 알아야 하는데…….
매일 술이나 마시면서 건강유지에는 힘쓰지 않고서야
어느 효자가 모시려 하겠느냐는 내용이었다.
스스로 病들고 누워서 지나는 100세는 罪惡이다,
최소한 활동에 지장 없는 건강이어야 祝福이 된다,
가족이나 간병인의 힘을 빌리는 의존생명은 짧으면
짧을수록 좋고 가족의 바람도 그럴 것이다.
지금 부터라도 우리 모두 건강유지에 힘써
病들지 않고 9988할 수 있도록, 祝福받은 長壽가 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노력에 힘쓰자.
[황혼의 열정 중에서]
제1계명: 자식에게 올인 하지 말라.
제2계명: 며느리 잘 모셔야 집안이 화목하다.
제3계명: 돈은 무덤까지 가지고 가야 한다.
제4계명: 돈보다 먼저 건강이다.
제5계명: 젊게 살려면 젊은이를 따라 하라.
제6계명: 미워도 내 사람이 제일이다.
제7계명: 뒤돌아보지 말고 남은 날들을 즐겁게 보내라.
제8계명: 작은 것을 크게 기뻐하라.
제9계명: 오늘 하루가 감사하면 일생이 감사하다.
제10계명: 자기가 믿는 신과 잘 거래 하라.
얻는 것이 많을 것이다.
노인됨의 축복을 알아야
진정한 노인의 행복을 누릴 수 있다.
하루 한번 귀 잡아 당기기! 疾病이 逃亡간다

이름난 장수촌의 장수 비결 가운데 하나가..
매일 밤마다 귀를 비비고 빨갛게 되도록 자극한 뒤
잠자리에 드는 것이라고 한다.
삼국지 유비는 귀가 어깨까지 축 늘어질 만큼 늘 귀를 만졌다고 전한다.
한방에서도 이침(耳針)이라 하여 귀를 인체의 축소판으로 보고
서로 상응하는 부위에 침을 놓아 치료했다고 한다.
귀의 중앙에 세로로 꼬리모양으로 크게 부풀어져 있는 부분을
대이륜이라 해 척추에 대응된다.
귀의 위쪽부분은 엉덩이와 다리에 해당하고, 귓불은 머리부분이 된다.
귓구멍의 입구부분은 내장과 관련이 있는 반사구가 밀집되어 있다.
귀를 잡아당기는 방향은 귀 윗부분은 위쪽으로,
가운데 부분은 양옆으로 잡아당기며 밑부분은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는 것이
기본이다. 귀는 평소에 자주 손을 대지 않는 부분인 만큼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잡아당기는 강도는 가볍게 통증이 느껴지면서 기분이 좋을 정도가
적당하며 너무 세게 잡아당기는 것은 좋지 않다.
귀 잡아당기기는 한번에 약 1분 정도, 30~50회 가량 시행한다.
그러나 귀에 상처가 있거나 귓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귀를 잡아당기기 전에 양 손바닥을 비벼서 손가락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귀 잡아당기기의 효과를 높여준다.
▶ 고 혈 압
귓바퀴 뒤 움푹 패인 곳을 누른다.
무리했거나 일시적 흥분이 원인이 되어 혈압이 높아진 경우에는
귀 잡아당기기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
귓바퀴의 위쪽 뒷면을 만져보면 움푹 패인 곳이 있는데 이곳을 '강압구'라고 한다.
우선 귀 뒤쪽에 있는 강압구에 엄지손가락을 대고 귀 표면을 검지로 눌러준다.
이렇게 누른 채 귓불의 밑부분까지 쓸어내리며 잡아당겨 준다.
양쪽 귀를 동시에 7~8회 반복한다.
또 귓불을 당겨주면 뒷목 부위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고혈압 환자 특유의 뒷목이 뻣뻣해지는 증상을 부드럽게 해준다.
늘 혈압이 높은 사람이라면 습관적으로 아침에 잠자리에서 귀 잡아당기기를
해주면 하루종일 맑은 정신으로 지낼 수 있다.
▶ 두 통
귓불을 잡아당긴다.
간단한 습관성 두통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일 때는
귀 잡아당기기로 해결할 수 있다.
두통은 혈관이 확장되거나 수축될 때 일어나는 현상.
고혈압으로 뒷목이 뻣뻣해질 때와 마찬가지로 귓불을 조금
세게 잡아당겨 주면 두통이 곧 사라진다.
만성 두통으로 인하여 고생하는 사람들은 수시로 두통의 반사구를
잡아당기는 것이 좋다.
▶ 눈이 침침할 때
귓볼을 늘려 아래로 잡아당긴다.
눈이 침침해지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
노화현상에 의한 것과 피로에 의한 것이다.
노화에 의한 눈의 피로는 심하면 백내장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귀 잡아당기기를 습관화하면 눈이 침침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내장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
또 장시간의 시험공부나 TV 시청, 컴퓨터 작업 등으로 피로해진 눈을
회복시키는 데도 효과적이다. 눈의 반사지점은 귓불의 한가운데 있다.
귓불 가운데를 엄지와 검지로 누른 후 밑으로 잡아당긴다.
처음에는 약간 강한 듯하게 누르면서 약 50회 정도 계속해서 반복한다.
▶ 정력 감퇴
귓볼 위 돌기를 얼굴 쪽으로 잡아당긴다.
정력은 나이 들면서 감퇴되어 가는 것이 보통이지만 피곤함이나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감소되는 경우도 있다. 정력과 관계가 깊은 것은
고환의 반사지점이다.
남성의 경우에는 그곳을 자극함으로써 정력이 증강되고 스태미너가 생기게 된다.
귓불의 위쪽에는 작은 돌기가 있는데 이 돌기의 안쪽이 고환의 반사지점이다.
이곳에 검지 손가락을 깊숙이 넣어 돌기 밑으로 손가락을 거는 듯한 느낌으로
얼굴 쪽을 향하여 잡아당긴다.
그런데 돌기 부분의 가장 아래쪽으로는 내분비와 난소의 반사지점이 있다.
따라서 이 지점을 자극하면 호르몬 분비가 원활해져 정력증강에 한층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피부를 윤택하게 가꾸어 주기도 한다.
▶ 소화불량
이륜각 위 오목하게 들어간 지점을 자극한다.
귀의 색이 누렇고 귓구멍이 작으며 귀가 얇으면 만성 위장병의 위험이 있다고 한다.
이런 상태가 아니라도 식욕이 없거나 트림을 하고 배에 가스가 잔뜩 차 더부룩하다면
장이 안 좋은 것이다. 대장, 소장, 십이지장의 반사구는 귓구멍 위 꼬리처럼 생긴
이륜각 바로 위의 오목하게 들어간 지점이다.
이 지점을 돌아가면서 자극한다.
귀 전체를 돌아가면서 자극해주는 것도 장을 튼튼하게 하는 한 방법.
▶ 어깨 결림·요통
귀 중앙 대이륜 주변을 자극한다.
어깨 결림이나 요통은 건강 상태를 깨뜨리는 원인.
이럴 때 귀를 통해 통증을 해소할 수 있다..
어깨, 허리의 반사구는 귀 중앙에 크게 불룩 튀어나온 대이륜 주변.
이곳을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서
목을 위로 쭉 늘려본다든지 전후 좌우로 돌리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세상은 넓고 가고픈곳은 많네
Tag
#월요통신
저작권자 © 컨슈머타임스(Consumer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