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용 CTK 대표 "화장품 풀 서비스, 3년 내 새 플랫폼 만들 것"
상태바
정인용 CTK 대표 "화장품 풀 서비스, 3년 내 새 플랫폼 만들 것"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PHOTO_20171121165814.jpg
[컨슈머타임스 윤재혁 기자] 정인용 씨티케이코스메틱스(이하 CTK) 대표는 21일 인사이트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상품 기획 및 연구개발로 화장품 풀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풀 서비스는 상품 기획과 연구개발(R&D)을 기반으로 구축한 플랫폼이다.

정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모처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갖고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현재의 풀 서비스를 3년 내 글로벌화한 새로운 플랫폼 비즈니스로 발전시킬 것"이라며 "지난 3~4년 간 회사 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 인사이트와 노하우를 강화해 글로벌 풀 서비스 타이틀을 뛰어 넘을 것"이라고 말했다.

CTK는 지난 2001년 화장품 용기 제조 목적으로 설립했으며, 2009년부터 글로벌 화장품 기업 대상으로 풀 서비스 사업을 시작했다. 고객사에 상품의 기획부터 납품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 대표는 "다수의 프로젝트로 축적한 빅테이터에 기반한 연구개발과 기획을 통해 시장 트렌드를 선점하는 전략을 구사한다"며 "이같은 빅데이터 기반 전략으로 글로벌 트렌드 분석과 상품에 대한 인사이트가 가능해 상품개발에 대해 노하우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품질관리(QA/QC)를 위해 글로벌 고객사들이 요구하는 테스트, 인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TK는 코스닥 상장을 계기로 플랫폼 사업을 강화하는 한편, 한국 파트너사에 집중됐던 패키징(용기)과 포뮬러(내용물) 소싱 인프라를 해외로 확장할 방침이다. 또한 미국의 뉴욕과 LA에 마케팅 센터를 오픈해 고객사와 네트워크를 더욱 유기적으로 한다는 전략이다.

정 대표는 "CTK는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고객사의 니즈를 A부터 Z까지 파악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플랫폼 비즈니스를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TK는 지난해 1338억원의 매출액을 거두는 동안 영업이익 267억원과 당기순이익 233억원을 달성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매출액 727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98억원, 126억원을 기록했다.

CTK는 코스닥에서 두 번째로 패스트 트랙(상장 간소화 절차, 직상장 기준) 적용 기업이 된다. 이번 공모 예정 금액은 최대 1110억원이며, 공모가 밴드는 4만5000~5만5000원 사이로, 총 200만 주를 모집한다. 상장예정주식 수는 1012만5709주로 밴드 상단 기준의 시가총액은 5569억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