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안정됐는데? 서민생활은 더 팍팍…
상태바
소비자물가 안정됐는데? 서민생활은 더 팍팍…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2개월 만에 가장 낮은 2.0%였다. 5.9%까지 치솟았던 작년 7월과 비교하면 매우 안정된 수치다.

하지만 서민들은 한결같이 `더 살기 힘들어졌다'고 한다. 왜 그럴까.

LG경제연구원 강종구 책임연구원은 12일 `경기하강기에 체감물가 높아지는 이유' 보고서에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수 차례 찾아왔던 불경기의 소비자물가를 분석했다.

일단 물가상승을 주도하는 품목이 달라졌다는 점이 한 가지 원인이다. 외환위기 이전(1985~1996년)의 연평균 물가상승률은 5.6%였는데 외식 등 개인서비스가 8.9% 올라 상승을 주도했다. 농축수산물 등 필수소비재는 5.2% 상승했고, 내구재 등 선택소비재는 2.1% 상승에 그쳤다.

외환위기 이후(2000년~현재)에는 교육비(5.2%)와 필수소비재(3.5%)의 가격이 물가상승률(3.2%)보다 많이 올랐다. 외환위기 전 물가상승을 주도했던 개인서비스 가운데 외식비와 기타서비스는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낮아졌다.

필수소비재는 경기가 상승할 때 가격이 1.9% 오른 반면 경기가 하강할 때 오히려 5.5% 상승했다고 강 연구원은 분석했다.

서민 생활을 좌우하는 것은 필수소비재 가격이다. 지갑이 얇아지면 금액이 큰 내구재는 구매 시점을 미루고 사치재는 아예 구매를 포기하면 되지만 필수소비재는 그럴 수 없기 때문에 구매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진다.

소득분위별 소비지출 비중을 보면 고소득층은 필수소비재 비중이 24%인 데 비해 저소득층은 35%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하강에 필수소비재 가격 상승이 겹쳐 저소득층의 생활이 더 힘겨워지는 것이다.

불황과 금융불안이 함께 나타나면서 환율이 폭등하는 현상도 해외의존도가 높은 농축수산물이나 석유제품의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 농축수산물과 석유류는 환율탄성치(환율에 반응하는 정도)가 높아 환율이 조금만 올라도 가격이 민감하게 움직였다.

강 연구원은 "불황기에는 소득이 줄어 체감 물가는 훨씬 비싸진다"며 "지표상으로 나타나는 소비자물가는 안정되는 모습이지만 저소득층이 느끼는 물가 부담이 커지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애리 기자
aeree0314@hanmail.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