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비용 평균 2천101만원…강남, 경상도의 세 배 육박"
상태바
"결혼비용 평균 2천101만원…강남, 경상도의 세 배 육박"
  • 인터넷팀 admin@cstimes.com
  • 기사출고 2025년 05월 28일 14시 01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원, 결혼서비스 가격 조사 결과 첫 공개
전국 결혼식장·준비대행업체 522곳 조사

전국에서 결혼식을 치르는 데 드는 서비스 비용이 평균 2천101만원으로 조사됐다. 결혼 비용은 서울 강남이 3천409만원으로 경상도의 세 배에 육박한다.

한국소비자원은 결혼 서비스 가격 조사 결과를 28일 처음으로 공개했다.

지난달 계약 기준으로 전국 14개 지역의 결혼식장(370곳)과 결혼준비대행업체(152곳) 등 모두 522곳의 계약 금액을 조사하고 지역별 가격 편차를 고려해 중간 가격을 대푯값으로 적용해 분석한 결과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토요일 오전 11시∼오후 1시 시작 예식 5천건의 결혼식장 필수품목(대관료·식대) 계약 금액과 1천814건의 '스드메'(스튜디오촬영·드레스·메이크업) 계약 금액을 분석한 결과 결혼 서비스 비용은 평균 2천101만원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 3천409만원, 강남 외 서울지역 2천815만원, 경기 1천875만원, 인천 1천834만원, 울산 1천796만원 순으로 비쌌다. 저렴한 곳은 경상도 1천209만원, 부산 1천227만원, 제주 1천543만원, 강원 1천627만원 순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결혼식장 계약 금액의 중간 가격은 1천555만원으로 서울 강남(3천130만원)이 최고가, 부산(815만원)이 최저가였다.

성수기의 계약 금액은 중간 가격 기준 1천620만원으로 비수기 1천170만원보다 450만원 비쌌다. 결혼식장들은 10월, 5월, 4월, 11월 순으로 성수기를 꼽았다.

결혼식장 비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식대'로 1인당 식대 중간 가격은 5만8천원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8만5천원)이 가장 비쌌고 경상도(4만4천원)가 가장 저렴했다. 1인당 식대 역시 성수기(6만원)가 비수기(5만5천원)보다 5천원 비쌌다. 월별로는 3월(6만3천원)이 가장 비쌌다.

결혼식장 대관료의 중간 가격은 300만원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700만원)이 가장 비쌌고 광주와 제주도가 각 100만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기본 장식비는 대전(50만원)에서만 받았다.

스드메 패키지 계약 금액의 중간 가격은 290만원이며 지역별로는 전라도(345만원), 광주(341만원), 부산(311만원), 서울 강남(295만원) 순으로 비싸고 인천(212만원)이 가장 저렴했다.

소비자원은 지역별 결혼 서비스 가격을 매월 조사하고, '참가격' 누리집(www.price.go.kr)을 통해 격월 단위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