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촉진 효과' 집값이 주가의 3배
상태바
'소비 촉진 효과' 집값이 주가의 3배
  • 운영자
  • 기사출고 2009년 07월 15일 08시 59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가상승보다는 주택가격이 오를수록 우리나라의 가계소비가 늘어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구조가 선진국과 달리 지나치게 주택자산에 편중된 탓이다.

그러나 과거 외환위기를 겪은 직후에는 주택자산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경기침체를 벗어나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하고 가계소비를 늘리려면 자산 쏠림현상부터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5일 예금보험공사의 `금융안정연구' 최근호에 실린 논문 `IMF 구제금융기간 전후 자산변동과 가계소비에 관한 실증연구'에 따르면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실증분석 결과 주택자산이 금융자산보다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3배가량 큰 것으로 분석됐다. 즉 집값 상승이 주가 상승보다 가계 소비를 더 촉진시킨다는 의미다.

이들 자산 가격의 상승은 공통적으로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의 소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예컨대 주택자산의가치가 1% 상승하면 저소득층(1분위)의 소비는 0.075% 늘지만, 고소득층(9분위)은 0.092% 가량 증가했다. 또 금융자산 가치가 1% 상승하면 1분위 계층의 소비는 0.019% 증가하지만 9분위 소비는 배 가량 높은 0.041% 늘어났다.

논문은 금융자산보다 주택자산이 소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2004년 기준 우리나라의 가계 총자산에서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84%에 달할 정도로 편중돼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시기인 1998~2000년과 그 직후인 2001∼2004년을 나눠서 비교해보면 외환위기 이후 주택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음에도 주택자산이 가계소비에 주는 영향력은 그 이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은 "주택자산의 가치가 올랐지만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가계부채가 늘어나 이자비용 부담이 급증하면서 소비를 증가시키는 자산효과 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여기에 가계 보유 자산 뿐 아니라 다른 가계의 주택가격도 함께 상승하면서 주택가격의 상승효과가 상쇄됐다는 분석이다.

논문은 "우리나라가 앞으로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하려면 소비 진작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가계의 자산보유에 있어서 주식자산 등과 같은 금융자산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가계소비에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요인은 근로소득으로, 근로소득이 1% 증가하면 가계소비는 약 0.3~0.5%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논문은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