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中 반독점 조사 '불똥 튈라' 긴장
상태바
현대·기아차, 中 반독점 조사 '불똥 튈라' 긴장
  • 여헌우 기자 yes@cstimes.com
  • 기사출고 2014년 08월 14일 08시 47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여헌우 기자] 최근 중국 당국이 글로벌 자동차업체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강화하면서 현대·기아자동차(회장 정몽구)의 긴장감도 상승하고 있다.

14일 국내외 자동차 업계와 중국 언론 등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최근 반독점 조사를 받고 있던 독일 아우디가 독점 행위를 인정함에 따라 역대 최대 규모인 18억위안(한화 약 3000억원)의 벌금을 부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중국 당국은 아우디뿐만 아니라 자동차 업계 전반에 걸쳐 국내외 업체 1000여 개를 대상으로 반독점법 위반 행위를 조사하고 있다.

그동안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수입차 판매 가격이 유럽이나 미국 등보다 훨씬 비싸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았다.

언론들도 수입차 가격이 다른 지역보다 3배 정도 높다며 폭리와 담합 의혹을 제기해온 상황.

중국 당국이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에 반독점법 조사의 칼날을 꺼내 들자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 재규어랜드로버, 크라이슬러, 토요타, 혼다 등은 자동차와 부품 가격을 잇달아 내리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14일 현재까지 중국 당국의 조사 대상에는 포함돼 있지는 않다. 언제 영향권에 들지 몰라 몸을 낮추고 있다.

이에 오는 18일 중국에서 출시되는 신형 제네시스의 가격을 구형보다 낮춰 판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우리는 아직 조사 대상은 아니다"라며 "하지만 중국 당국의 조사가 확산할지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달 중순 공직사회의 부패 근절을 위해 관용차 개혁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앞으로 장·차관급을 제외한 관료들이 일반적인 업무를 볼 때 관용차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8월 현재 중국의 관용차는 약 180만대로 추정되는데, 통상 지방정부의 국장급만 돼도 아우디를 비롯해 외제차를 관용차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글로벌 업체들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기오염 문제로 신차의 구매를 제한하는 조치도 시행 중이다.

신규 자동차 번호판을 추첨과 경매를 통해 발급하는 방식으로 신차 구매를 제한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제도를 시행 중인 곳은 베이징과 상하이, 광저우, 톈진 등 7개 대도시이지만, 점차 다른 도시로까지 확산될 조짐을 보여 국내외 자동차업계의 고심이 커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