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예령 기자 | 현대약품 일부 임원들이 통화 내용을 도·감청해 인사에 활용하고 횡령 혐의가 있는 임원에게 퇴직 위로금을 지급했다는 의혹이 나왔다.
11일 한 매체 보도에 따르면 현대약품 경영 총괄 전무가 업무 회의 중 스피커폰을 통해 영업 직원과의 통화 내용을 다수 직원에게 공유했고, 이 과정에서 '반품이 있다'는 발언을 문제 삼아 해당 직원의 지점장에게 인사 조치를 취했다는 내용이다.
더불어 전무의 폭언 및 갑질 의혹도 제기됐다. 해당 임원은 "야 이 XXX아", "이 나이에 나 아니면 너 받아줄 회사 없다"는 식의 발언과 함께 직원에게 시말서를 작성하게 하거나 업무 성과를 가로채는 등 부적절한 처신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현재 퇴사한 A 전 본부장이 약 10억원 상당의 회사 자금을 유흥비로 사용하고 이를 인지한 임원진이 징계 대신 1년 치 사직에 대한 위로금을 지급했다는 내용도 함께 전해졌다.
이 같은 보도에 대해 현대약품은 입장문을 냈다.
사측은 "A 전 본부장이 약 10억원을 착복했다는 내용은 사실무근이며, 임직원의 비용 착복이나 횡령을 조사하거나 적발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퇴사한 본부장에게도 퇴직 시 위로금을 지급한 적 없다"고 덧붙였다.
폭언 논란에 대해서는 "임원의 폭언 의혹, 영업 직원이나 지점장을 부당하게 해고한 사실 또한 없으며 모든 인사 조치는 근로기준법을 철저히 준수하며 진행됐다"고 덧붙였다.
이어 통화 도·감청 의혹과 관련해 "여러 명이 참석한 회의 중 스피커폰으로 통화한 것일 뿐, 불법적인 도청이나 감청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회의 중 진행된 스피커폰 통화 방식이 자칫 임직원에게 성과 압박이나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이에 대해 현대약품은 "해당 통화는 업무와 관련된 즉각적인 확인 및 의견 공유가 필요한 상황이었으며 회의 참석자 모두가 동시에 내용을 이해하고 논의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설명했다.
현대약품은 "이번 논란으로 조직 사기 저하와 기업 이미지 훼손이 우려된다"며 "임직원의 권익을 보호하고 건전한 기업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제 다시 시작 해 보자!
이제부터 당시 비리에 대해 감사하고 제대로된 조치를하지 않은 W와K에 대한 인사 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팩폭(녹취, 자료 등)으로 국민신문고에 올려 줄께 마지막 기회다.
어설프게 누구 색출한다고 지랄도 하지말고 그러면 매주 하나씩 추가 비리나 약사법 위반사례도 추가 예정.
자료 증언 많음.
회사 생각하면 호미로 막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