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공개
상태바
현대차,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공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참여 기관(좌측부터 청주공예비엔날레, 휘트워스 미술관, 백남준아트센터, 피나코테카 미술관 전경)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참여 기관(좌측부터 청주공예비엔날레, 휘트워스 미술관, 백남준아트센터, 피나코테카 미술관 전경)

컨슈머타임스=강나연 기자 |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는 예술 생태계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공공 예술 기관의 국제 교류 및 협업을 기반으로 하는 신규 파트너십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를 18일 공개했다.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는 국내외 예술 기관들의 상호 협력을 통해 공동 전시를 선보이는 신규 프로젝트다. 전 세계 예술 기관들이 주목하는 초지역적 주제에 대해 살펴보며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됐다.

현대차는 새로운 아트 파트너십인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를 통해 향후 10년간 중장기적으로 다양한 기관의 초지역적 예술 협업을 지원한다.

특히 연구와 신작 커미션을 비롯해 전시 및 연계 프로그램 진행까지 포괄적인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전시는 각 기관이 위치한 지역의 특수성과 초지역적인 가치를 아우르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기획될 예정이다.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의 막을 여는 첫 번째 교류로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와 '휘트워스 미술관'이 협업에 나선다.

이번 협업은 '섬유 공예와 커뮤니티'에 초점을 맞춘다. 한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작가 8인을 초청하는 신작 커미션과 연구 및 교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인도 국립공예박물관'과도 협력할 계획이다.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첫 번째 교류 전시는 오는 9월 4일 개막하는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 특별전에서 처음 만나볼 수 있다. 2026년 2월 인도 국립공예박물관과 2026년 7월 휘트워스 미술관에서도 이어질 예정이다.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의 두 번째 교류 기관은 '백남준아트센터'와 '피나코테카 미술관'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를 통해 한국 예술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미술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새로운 예술적 실천에 동참하고자 하는 기관들을 다각도에서 지원하며 초지역적 협업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 강재영 예술감독과 이숙경 휘트워스 미술관 관장은 "이 획기적인 프로젝트는 세 도시가 공유하는 풍부한 유산과 혁신적 정신을 기리고 장인 정신에 대한 우리의 열정과 섬유 예술의 동시대적 해석 및 비전, 상호 연결된 서사들을 폭넓게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박남희 백남준아트센터 관장과 요헨 볼츠 피나코테카 미술관 관장은 "예술과 기술의 결합을 통해 시공간을 초월하는 만남의 장을 구상했던 백남준의 정신으로 세계 반대편에 위치한 두 미술관이 하나가 되고, 그의 유산을 오늘날 우리 삶으로 가지고 올 수 있게 되어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