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내외 악재 항공업계 인원 감축 등 '허리띠 졸라매기'
상태바
대내외 악재 항공업계 인원 감축 등 '허리띠 졸라매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KR20191216149500003_01_i_P2.jpg
[컨슈머타임스 장문영 기자] 대내외 요인으로 불황에 시달리는 항공업계가 희망퇴직을 실시하며 허리띠 졸라매기에 나섰다.

1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23일까지 만 50세 이상, 15년 이상 근속한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최근 단행한 정기 임원 인사에서 임원 수를 20% 넘게 줄인 데 이어 2013년 이후 6년 만에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것이다.

앞서 지난달부터는 희망자에 한해 최대 6개월의 단기 무급휴직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 매각 협상 중인 아시아나항공은 본사 영업 등 일반직 직원에게 최소 15일에서 최대 2년의 무급휴직을 필수적으로 신청하도록 하고 있다. 이달 1일 기준으로 일반직 직원은 2400명에 달한다.

경영 정상화를 위해 올해 5월에는 근속 15년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기도 했다.

대형항공사마저 감원에 나서며 허리띠를 졸라매는 가운데 저비용항공사(LCC)도 '군살빼기'의 예외는 아니다.

이스타항공의 경우 원가절감을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운영 중이다. 이스타항공은 전사적으로 '리프레시 장기 휴가'를 시행하는 한편 불필요한 야근을 자제하고 정시에 퇴근하도록 하고 연차 사용도 독려하는 '워크 스마트'를 진행하고 있다.

제주항공의 경우 조종사들이 자발적으로 '북극곰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탄소 배출 줄이기와 연료 절감을 동시에 꾀하고 있다.

반면 진에어는 연료 탱커링(Fuel Tankering)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연료 탱커링은 운항하는 두 공항의 연료 가격 차이가 현저하게 클 경우 유가가 낮은 공항에서 연료량을 필요 이상으로 탑재해 연료 가격이 높은 공항에서 급유하는 양을 최소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미 국내 항공업계가 단거리 노선의 공급 과잉과 신규 LCC 취항, 외항사의 국내 시장 진출 확대, 보잉 737NG 균열 등 각종 악재에 직면한 상태여서 당장은 아니더라도 중장기적으로 항공업계의 재편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감원 등 추가적인 구조조정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