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인들, 유럽보다 더 일하고도 '경제적 불안' 시달려
상태바
서울 노인들, 유럽보다 더 일하고도 '경제적 불안' 시달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노인들, 유럽보다 더 일하고도 '경제적 불안' 시달려

[컨슈머타임스 김수정 기자] 서울 노인들은 유럽 노인보다 더 일하고 사회활동에 적극 참여하지만 절반 가량이 경제적 불안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서울연구원 윤민석 부연구위원과 서명희 연구원이 작성한 '활동적 노화지수의 서울시 적용 가능성 검토'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의 '활동적 노화' 지수는 7위 수준으로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도 상위권이었다.

특히 고용∙사회참여 분야는 3위로 유럽국가들보다 우위에 있었다. 서울 독립∙안전 분야 활동적 노화 지수는 최하위 수준이었다.

'활동적 노화'란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ECE)와 세계보건기구(WH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이 사용하는 개념이다. 나이가 들면서도 건강을 유지하고 독립적으로 안정적인 삶을 유지하는 생활을 뜻한다. 고용, 사회참여, 독립∙안전, 역량∙환경 등 4가지 분야에 따른 22개 지표를 측정해 100점 만점으로 수치화한다.

이 보고서는 서울에 대한 활동적 노화 지수를 유럽연합(EU) 국가들과 비교했다.

연령별 고용률을 지표로 삼은 고용 분야 점수는 서울이 38.5점으로 스웨덴(43.4점), 에스토니아(39.7점)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덴마크·영국(35.8점), 독일(34.4점), 네덜란드(33.9점) 등을 제쳤으며 EU 평균(27.9점)보다도 10점 가량 높았다.

보고서는 그러나 노인 고용률이 높은 것을 긍정적으로만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 노인 빈곤율은 48.1%로 높아 노인들이 65세 이후에도 일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풀이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노인 일자리가 비정규직이나 자영업 중심이어서 고용이 불안정하고 노동권이 보장되지 않는 열악한 상황이라는 점도 우려했다.

사회참여 분야에서 서울은 아일랜드·이탈리아(24.1점)에 이어 23.1점으로 3위에 올랐다.

스웨덴(22.9점), 프랑스(22.8점), 네덜란드(22.4점), 룩셈부르크(22.2점), 영국(21.6점), 핀란드(20.6점) 등이 뒤 따랐다.

사회참여 분야 지표들을 보면 손자녀∙자녀 돌봄(37.5점), 다른 노인∙장애인 돌봄(38.1점)이 EU 평균(각 30.6점∙11.8점)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반면 정치적 활동 점수는 서울(0.6점)이 유럽 평균(20.5점)보다 크게 떨어졌다. 자유롭게 정당에 가입하고 지역에서 활동하는 유럽의 정치문화와 우리의 그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독립∙안전 분야는 서울이 54.4점으로 꼴찌 수준이었다.

덴마크∙핀란드(79점), 네덜란드(78.9점), 스웨덴(78.6점) 등 복지 선진국은 물론 EU 평균(70.6점)에도 크게 못 미쳤다.

지표별로 보면 빈곤 위험이 없는 비율에서 유럽 평균은 94.6점이었지만, 서울은 50.3점이었다. 거주지역 안전도도 유럽 평균은 78점, 서울은 53.2점이었다.

역량∙환경 분야 점수는 55.6점으로 EU 평균(54.4점)과 비슷했다.

지표별로 노인의 생존 가능성(61점), 건강하게 살 수 있는 확률(64점), 인터넷 사용(62.5점) 등은 EU 평균보다 각각 12.2점, 6.9점, 32.8점씩 높았지만, 정신적 웰빙 지표는 23.9점으로 EU 평균(68.2점)보다 저조했다.

보고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인용해 "OECD 국가 노인가구 소득원에서 공적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59%지만 한국은 16.3%에 불과하며 한국 노인 소득원의 63%는 근로소득"이라며 "공적연금의 점진적인 증가로 노인 빈곤율이 하락하긴 하겠지만 당장 노인 빈곤을 해결하기엔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