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25 국제장애고용포럼(IDEF)' 성료
상태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25 국제장애고용포럼(IDEF)' 성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애인고용을 통한 가치실현, 국제사회 공동 노력 모색
6일 제주에서 국내외 전문가가 모여 '집합적 임팩트'를 위한 전략 모색
포용적인 장애인고용, AI기술이 미래 미치는 영향 등에 관심 있는 기업과 장애인단체 등 200여명의 전문가 참석, 글로벌 고용정책 변화에 박차
6 국제장애고용포럼에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종성 이사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6일 국제장애고용포럼에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종성 이사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사장 이종성)은 이달 6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 백록홀에서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고용노동부장관회의(이하 SOM2, Senior Official's Meeting 2)의 공식 부대행사인 2025년 국제장애고용포럼(이하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사회적 가치를 향한 집합적 노력을 찾다'를 의미를 가지고 '포용적 고용을 위한 정책지원과 기업의 장애인고용 노력', '기술과 접근성 개선을 통한 장애인고용 확대' 등 두 가지 주제로 진행됐다.

APEC 21개 회원국과 APEC장애정책협의체, 국제기구, 기업, 학계 등 관련 전문가가 참여한 이번 행사는 'AI와 장애'를 주제로 서울대학교 이종호 교수(전 정보통신부 장관)의 기조연설로 시작됐다.

이어진 세션 1에서는 서울대학교 홍석철 교수가 포용적 고용을 위한 정책지원과 기업의 장애인고용 노력을 주제로 논의를 이끌었고 세션 2에서는 한국노동교육원 허재준 원장이 현장이 기술과 접근성 개선을 통한 장애인고용 확대를 주제로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이번 포럼에는 포용적인 장애인고용, AI기술이 장애인 고용현황과 미래 미치는 영향 등에 관심이 있는 장애인 다수고용기업, 사회복지 전문가와 종사자 그리고 지자체, 장애인단체 등 약 200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여 주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종성 이사장은 "이번 논의가 단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 각 기관과 기업, 지역 사회가 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갈 수 있는 연결의 시작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