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성수 기자 | MG손해보험(이하 MG손보)의 다섯 번째 매각 시도가 무산되면서 소비자들의 혼란이 커지고 있다.
MG손보 상품에 가입한 피보험자들의 해약도 늘어나고 있다. 일각에서는 피보험자들에게 새로운 보험 가입을 유도하는 청산 마케팅까지 이뤄지고 있어 더욱 큰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
2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는 최근 MG손보 매각 우선협상자 지위를 반납했다.
MG손보는 2023년부터 다섯 차례 매각 시도가 불발된 만큼 향후 재매각이 어려워 청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MG손보가 청산 절차에 진입할 가능성이 제기된 만큼 상품에 가입한 소비자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MG손보 가입자는 124만4155명이다. 이중 예금자 보호를 받지 못하는 5000만원 초과 계약자는 1만1470만명으로 계약 규모가 1756억원에 이른다.
예금보험공사가 MG손보를 청산하고 다른 보험사에 계약을 이전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지만, 올해 예금자 보호 한도액이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되는 만큼 한도 상향 이전 청산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른 보험사들이 손해율이 높은 상품을 이전받은 후 손실이 커질 가능성이 있어 보험사 경영진 입장에서는 이를 받아들이기 어려워서다.
일부 피보험자들은 MG손보 청산 가능성이 제기된 이후 보험을 해지하거나 단체 채팅방을 만들어 국회 청원을 올리는 등 자산을 지키기 위해 집단행동에 나서고 있다.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이 MG손보의 처우에 관한 결정을 미룬다면 소비자 피해가 더욱 커질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특히 업계 일각에서 자산을 지키려고 하는 소비자들의 공포심을 악용해 새로운 보험상품에 가입하도록 유도하는 청산 마케팅까지 이뤄지고 있어 시장 혼란을 키우고 있다.
MG손보는 곧 청산할 회사이니 해약환급금은 돌려받을 수 있지만 보장 기간에 대한 계약은 사라지니 기존 상품을 해지하고 유사한 새로운 상품에 가입하라는 방식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현시점은 MG손보를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한 후 이미 약 3년이 경과한 상황"이라며 "매각 절차가 지연되면서 MG손보의 건전성 지표 등 경영환경은 지속 악화돼 왔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에서도 MG손보의 독자생존에 대해 우려가 커지고 있어 정부는 이를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라며 "이번 사안에 대해 금융당국은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메리츠화재의 MG손보 인수 무산의 배경인 노동조합은 청산 절차에 돌입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 이후 뒤늦게 절차에 협조하겠다고 밝혔지만 부정적인 시선이 이어지고 있다.
MG손보 노동조합은 메리츠화재가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반납하겠다고 밝힌 이후 예금보험공사 앞에서 'MG손보 정산 매각 촉구 기자회견'을 열어 금융당국이 보험의 신뢰 회복을 위해 MG손보의 정상적인 매각을 선언해야 한다고 선언했다.
업계 관계자는 "고용승계를 주장하며 실사를 방해한 노조가 정상 매각을 위해 협조한다고 해도 인수전에 참여할 보험사가 있을지 미지수"라며 "부실 금융기관으로 결정된 이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자체 정상화도 어려워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