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예령 기자 | 끝없는 정국 불안 속에서 한국 경제가 저성장의 늪에 빠지면서 대내외에서 경고등이 켜졌다.
특히 나빠진 경제 심리로 인한 내수 경기의 악화, 환율 급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 등의 요인으로 1월 기준금리 인하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7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 8곳이 제시한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11월 말 평균 1.8%에서 12월 말 1.7%로 0.1%포인트(p)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1월 제시한 전망치(1.9%)와 정부가 지난 2일 제시한 전망치(1.8%)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IB 평균 전망치는 지난해 9월 말 2.1%에서 3분기 수출 감소를 확인한 직후인 10월 말에 2.0%로 떨어졌다. 12월 말까지도 석 달 연속 내림세를 탔다.
지난 한 달 사이에는 JP모건이 1.7%에서 1.3%로, HSBC가 1.9%에서 1.7%로 각각 전망치를 조정했다.
IB 가운데 가장 낮은 전망치를 제시한 JP모건은 이번 보고서에서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한층 더 짙어진 내수 불황을 결정적 변수로 지목했다.
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박석길 JP모건 본부장은 "지난해 12월 경제심리지수가 전반적으로 꽤 큰 폭으로 하락했고, 올해 1월 들어서도 의미 있게 상향 반전할 것으로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난해 11월까지 데이터를 확인하고 4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며 "내수 불확실성이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려워 보여 올해 1분기 수치까지 낮췄고, 그 결과 연간 수치도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박 본부장은 "올해 수출 증가율도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라며 "대략 2% 선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해외 투자은행들은 내년에도 평균 1.8% 수준의 성장률을 예상했다. 한국 경제가 2년 연속 1%대의 저조한 성장률을 기록한 건 1953년 이후 최초다.
저성장 우려가 어느 때보다 심각한 가운데 BNP파리바는 최근 보고서에서 "정치 불안, 항공기 사고 등은 소비심리를 추가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1월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2일 신년사에서 "전례 없이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통화정책은 상황 변화에 맞춰 유연하고 기민하게 운영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기자들과 만나 "지금 어느 방향으로 결정된 게 없다"며 "(금융통화위원회 직전까지) 데이터를 보면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