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실험동물 대체 시험법' 추진 나선다
상태바
정부, '실험동물 대체 시험법' 추진 나선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연합뉴스]
실험 쥐에게 약물 투여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컨슈머타임스=김예령 기자 | 동물단체와 국회가 수년 전부터 '동물대체시험법 확산'을 촉구해 온 가운데 정부가 백신의 출하 승인에 필요한 품질관리에 사용되는 실험동물을 대체할 시험법 개발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내년부터 2029년까지 116억4000만원을 투입해 '백신 품질관리 동물 대체 평가기술 기반 구축'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해당 사업은 생명 존중 규제과학을 실현하고 고품질 백신 공급으로 국민 건강을 구현하기 위해 추진한다. 

특히 보툴리눔, DTaP(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백신의 출하 승인에 필요한 품질관리에 사용되는 실험동물을 대체할 수 있는 시험법 기반을 구축한다.

이는 백신 품질관리 동물대체시험법의 검증 과정을 거쳐 국제적으로 조화된 시험법을 확립·보급함으로써 생명 존중의 가치를 실현하고 국산 백신의 글로벌 진출도 지원하려는 취지다.

식약처는 우선 내년 18억3800만원을 들여 △생체 내 보툴리눔 독소 기전을 시험관에서 구현한 시험법(BINACLE 등) △무독화 시험법 △역가 시험법 등 이와 관련된 검증을 2026년까지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2027년부터는 유럽 등 외국 기관과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세계보건기구(WHO) 백신 관련 기술문서에 반영하는 등 동물대체시험법 규제를 선도한다.

또한 2028년엔 시험법에 사용되는 반응 시약(항체 등) 자체 생산 및 공급을 통해 실질적인 기술 자립 환경을 조성 후 2029년에는 '생물학적제제 기준 및 시험방법' 고시에 기존 동물실험법을 삭제하고 동물대체시험법을 반영할 계획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동물대체시험법이 확립되면 해마다 30만 마리가량 희생되는 실험동물의 피해를 줄이고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시약 개발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