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종합대책 전 '단기 방안' 내놓을 듯…'지하 충전시설 금지'는 현실성 의문

11일 오후 서울의 한 아파트에 전기자동차는 지상주차장에 주차하라는 내용이 담긴 현수막이 걸려 있다.
'전기차 공포증' 확산세를 진정시키기 위한 정부 종합대책 수립 작업이 본격화됐다.
12일 오전 환경부 차관 주재로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기차 및 지하 충전소 화재 안전 관계부처 회의'가 진행됐다.
이날 회의에선 지난 1일 인천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이후 언론이나 전문가들이 제시한 대응 방안이 대부분 논의됐다고 한다.
정부는 이날 회의 결과를 토대로 13일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차관회의를 열어 다음 달 초 발표할 전기차 화재 종합대책 기틀을 잡을 예정이다.
현재 정부는 9월 종합대책 발표 이전에 정부나 업계가 바로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선별하는 작업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당장 시행이 필요하고 시행할 수 있는 방안과, 고민이 더 필요하고 내년 또는 후년까지 장기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방안으로 나뉠 수밖에 없다"며 "단기 대책은 빨리 공개해서 시행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12일 오후 인천 연수구 송도동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 전기차 충전소에 전기차 화재 예방법이 붙어 있다.
◇ 중·미·유럽 '배터리 제조사 공개'…현대차 선제 공개
이에 정부 대책은 대상별로는 '전기차 자체'와 '충전기를 비롯한 전기차 관련 기반시설', 시행 시기별로는 단기와 중장기로 나뉘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논의되는 방안은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공개'다.
인천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불탄 차에 애초 알려진 것과 다른 제조사 배터리가 탑재된 것이 확인돼 배터리 제조사 공개 요구가 거세졌다.
국토교통부는 전기차 제원 안내에 배터리 제조사를 반드시 포함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으로 13일 업계를 만나 의견을 듣는다.
국내 자동차시장 점유율이 50%를 넘는 현대자동차는 9일 홈페이지를 통해 전기차 13종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했다. 기아차도 곧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100% 충전 제한'도 당장 시행할 수 있는 방안으로 꼽힌다.
서울시는 다음 달 말까지 '공동주택 관리규약 준칙'을 개정해 90% 이하로만 충전할 수 있게 제한된 전기차만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 들어올 수 있게 권고할 예정이다.
◇ '화제 예방 충전기' 보급…'지하 충전시설 설치 금지'는 현실성 의문
전기차 충전기와 관련해서는 과충전 방지를 위해 전기차와 통신할 수 있는 '전력선통신(PLC) 모뎀'을 장착한 기기를 늘리는 방안이 핵심 대책이 될 전망이다.
현재 급속충전기엔 대부분 PLC 모뎀이 장착됐으나, 완속충전기엔 거의 없다.
환경부는 올해부터 PLC 모뎀을 장착한 '화재 예방형 완속충전기' 보급을 위해 보조금을 40만원 더 지급하고 있다.
불이 났을 때 소방력을 투입하기 어려운 지하엔 충전기를 설치하지 못하게 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앞으로 지상에만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고 지하 충전기 이용은 금지하자는 목소리가 커졌지만, 최근 지어진 아파트는 단지 내 지상으로 아예 차가 다니지 못하는 곳도 많아 '불가능한 방안'이라는 의견도 많다.
이에 소방당국은 전기차 충전기가 있는 지하주차장은 스프링클러 간격을 좁혀 화재 때 보다 많은 양이 분사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