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차, 지난해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규제→인센티브 패러다임 전환 필요"
상태바
한국차, 지난해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규제→인센티브 패러다임 전환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장용준 기자] 지난해 세계 7대 자동차 시장은 상반기 성장세를 보였으나 하반기 코로나19 재확산과 반도체, 부품 부족 등의 악재로 뒷걸음질 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차 브랜드들은 미국 시장 판매량 증가와 더불어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에 성공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13일 발표한 자동차 7대 시장(미국·유럽·중국·인도·멕시코·브라질·러시아)과 정책동향을 조사한 '2021년 해외 주요 자동차 시장 및 정책 동향 보고서'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보고서를 살펴보면, 지난해 세계 7대 시장은 전년 대비 4.4% 확대됐는데, 특히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30.6%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다. 하지만 하반기에는 신차 공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하면서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13.6% 뒷걸음질 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별로는 △인도(26.7%↑) △중국(6.5%↑) △멕시코(6.3%↑) △러시아(4.3%↑) △미국(3.1%↑) △브라질(1.2%↑)은 확대됐다. 반면 유럽은 축소(1.5%↓)됐다.

다만 KAMA는 이같은 확대 기조가 전년 대비 기저 효과에 따른 것으로 보이며, 시장 규모는 아직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도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인도 시장은 2019년도 수준(296만대)을 웃도는 규모(308만대)를 회복했다. 중국 시장도 테슬라 및 신에너지차(NEV) 판매 확대 등의 영향으로 지난 2019년 수준(2144만대)을 회복하고 4년 만에 확장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시장은 상반기에 백신 보급 본격화, 경기 부양책 등의 효과로 크게 확대(29.3%↑)됐으나, 하반기에는 크게 위축(13.6%↓)된 것으로 확인됐다.

자동차 메이커(국적)별 시장 점유율은 한국·중국이 증가했고, 일본은 전년 수준을 유지, 유럽·미국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차는 유럽의 전기차 보조금 활용을 통한 전기동력차 수출과 러시아·멕시코·브라질에 대한 저가 차량 수출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판매량이 24.7% 늘었다. 점유율은 2020년 15.2%에서 2021년 18.2%로 확대됐다.

일본차는 미국에서 도요타가 판매량 1위를 기록하는 등 선전했다. 제너럴모터스(GM)을 처음으로 제친 기록이다. 유럽에서도 유럽 메이커(68.8%)에 이어 점유율(11.1%) 2위에 올랐고, 중국에서도 판매는 부진했으나 전년과 동일한 수준의 점유율(25.6%)을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한국차는 미국·유럽 등 선진국에서의 판매가 늘면서 전년 대비 점유율이 7.5%에서 7.9%로 확대됐다.

특히 미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21.6%)을 보였다. 유럽도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 확대로 점유율이 소폭 상승(1.5%포인트↑)했다. 반면 중국에서는 판매량 감소(25%↓)가 이어져 점유율도 2.4%를 기록하면서 4년째 점유율 하락을 맛봤다.

미국차는 주력 시장인 미국에서 반도체 부족으로 유일하게 전년 대비 4.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차는 유럽·중국 양대 주력 시장(유럽계 메이커 판매량의 약 80%)의 판매 부진으로 전년 대비 전체 시장 점유율이 3.2%포인트 하락했다.

KAMA는 세계 각국이 전기동력차 생산 비중을 확대함과 동시에 전기차 보조금에 대한 단계적 축소 계획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중국은 전기차 보조금을 올해 전년 대비 30% 삭감하고, 내년부터 보조금 제도 폐지를 예고했다. 독일은 내년부터 전기모드 주행거리 최소 80㎞이상 차만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프랑스와 영국은 대당 보조금 상한액을 축소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정만기 KAMA 회장은 "자동차 산업은 반도체 수급, 물류비 상승 등 단기 어려움 속에서 미래차 전환까지 준비해야 하는 이중고에 처해있다"면서 "새 정부는 유동성 지원 확대 등 단기 대책 마련과 더불어 획일적 규제 위주 정책에서 인센티브 위주로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