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정비사업, 대형건설사 경쟁 '줄고' 수의계약 '늘고'
상태바
1분기 정비사업, 대형건설사 경쟁 '줄고' 수의계약 '늘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성동구에서 바라본 아파트단지. [사진=장용준 기자]
서울 성동구에서 바라본 한 아파트단지. [사진=장용준 기자]

[컨슈머타임스 장용준 기자] 대형건설사들이 지난해 치열했던 전국 주요 도시정비사업 수주 경쟁을 의식한 것일까. 올해 1분기에는 건설사 간 수주전보다는 해당 정비사업 조합과의 수의계약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경쟁이 사라진 사업의 질적 저하와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아울러 과거 사라졌던 중형건설사들의 들러리 입찰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올 들어 1분기 서울‧수도권을 비롯해 지방광역시에서 시공사 선정에 나선 주요 정비사업지 24곳 가운데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GS건설, 롯데건설, DL이앤씨 등 대형건설사가 단독입찰에 나선 사업지는 21곳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과천주공8‧9단지 재건축사업(현대건설 단독입찰) 등 유찰된 8곳을 제외한 13곳은 모두 수의계약이 이뤄졌다.

2017년 개정된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상 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시 한 곳의 건설사만 입찰하면 유찰된다. 유찰이 2회 이상 반복될 경우 단독입찰한 건설사와 수의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최근의 추세는 일종의 트렌드로 흐를 가능성마저 보인다.

삼성물산은 서울에서 강남권 알짜배기로 꼽힌 서초구 방배6구역 재건축과 용산구 이촌동 코오롱아파트 리모델링에 단독입찰하면서 수의계약을 따냈다.

현대건설은 최근 적극적으로 하이엔드 브랜드 디에이치의 파워를 제재로 발휘하는 분위기다. 서울 용산 이촌강촌 리모델링에 깃발을 꽂았고, 대전 유성 장대B구역 재개발과 광주 서구 광천동 재개발 사업 등 지방광역시까지 수의계약을 통한 수주를 확대했다.

1분기 쾌조의 스타트를 보인 GS건설은 서울에서 용산구 이촌동 한강맨션 재건축과 영등포구 신길 13구역 재건축, 부산 구서 5구역 재건축 등을 수의계약을 통해 수주했다. 지난해 연말 서울 백사마을 재개발과 신림1구역(GS건설·현대엔지니어링·DL이앤씨 컨소시엄) 재개발을 수의계약한 것까지 포함하면 그 범위는 더욱 넓어진다.

롯데건설은 성수1구역 재건축, 청담신동아 리모델링을 수의계약으로 수주했고, DL이앤씨도 남서울무지개 재건축과 대구 수성1지구 재개발을 같은 형태로 수주했다.

1분기에 유찰된 단독입찰 건도 2분기에는 수의계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현대건설이 경기도 과천주공 8·9단지 재건축 수주에 다시 나서고, 롯데건설 또한 서울 성북구 돈암6구역 재개발과 동대문구 이문4구역 재개발 수주가 유력하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지난해 정비사업 시장이 확대되면서 대형 건설사는 해외사업의 부진을 씻기 위해 제살을 깎아가면서 출혈 경쟁을 한 후유증이 있다"며 "올 들어서는 이를 피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을 전략 삼아 수주전에 임하다 보니 수의계약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업계에서는 이들 대형건설사들이 새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을 바탕으로 정비사업에서 공격적인 수주를 이어나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배세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재건축 연한 30년이 넘어가는 아파트 물량 증가세가 가팔라 정비사업은 주택 영위 건설사들의 장기간의 주요 매출원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정비사업은 2021년 기준 도급 순위 상위 10개 건설사가 8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할 정도로 건설사의 브랜드 인지도·영업 능력·자금력이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상위 건설사들에 대한 쏠림 현상도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10대 건설사 수주액은 28조7000억원가량으로 전년보다 51.7%의 상승률을 기록할 정도였다.

상황이 이렇게 흐르다 보니 최근 정비시장에서는 단독입찰이 이뤄진 뒤 유찰된 사업장의 경우 중견 건설사들이 참여하는 '들러리 입찰'로 대형건설사가 사실상 경쟁 없는 수주에 성공했다는 의혹도 불거져 나오고 있다.

해당 사업의 한 조합원은 "유력한 대형건설사들이 단독입찰에 나선 경우 사실상 다른 경쟁사가 붙기 어려운 현실에서 중견사들이 들러리 입찰을 하면 피해를 보는 건 조합원들"이라며 "사업에 들어가도 맥주 거품 빠지듯 건설사로 무게추가 기울게 되는 경우가 많아 걱정이 커지고 국민청원까지 이어지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에 대해 중견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들러리 입찰이라는 게 예전처럼 명확하지 않다"면서 "과거 2000년대 초반이나 2010년의 경우에는 중견사들이 대형사에게 들러리 입찰을 서 주면 다른 비중 낮은 사업장을 수주할 수 이는 윈-윈이 가능하기도 했지만 지금은 중견사들이 그런 이익을 받을 수도 없어 들러리 입찰 자체가 어불성설"이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