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은행권 대출금리가 빠르게 오르면서 금리 인상을 막아달라는 취지의 청와대 청원까지 등장했다.
은행들이 지나치게 가산금리를 늘리고 우대금리를 깎고 있다는 지적인데, 최근 금리 결정 구조를 살펴보면 실제로 어느 정도 일리가 있는 주장이다.
◇ 은행 대출금리 하루 0.2%p 뛰기도…주담대 최고 5%대 중반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5일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가계대출 관리를 명목으로 진행되는 은행의 가산금리 폭리를 막아주세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증가율 규제로 가계대출 총량이 줄면서, 은행 등 금융기관들이 가산금리를 높이고 우대금리를 없애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이날 오전까지 8천700여명이 이 글에 동의했다.
실제 최근 대출금리는 하루가 다르게 뛰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 1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31∼4.814% 수준이다. 이는 8월 말(2.62∼4.19%)과 비교해 불과 두 달 사이 하단과 상단이 각 0.69%포인트, 0.624%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변동금리가 아닌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의 상승 폭은 더 크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혼합형 금리는 연 2.92∼4.42%에서 3.97∼5.377%로 올랐다. 두 달 새 최저 금리가 1.05%포인트, 최고 금리가 0.957%포인트 등 약 1%포인트 뛰었다.
신용대출의 경우 현재 3.35∼4.68% 금리(1등급·1년)가 적용된다. 8월 말(3.02∼4.17%)보다 하단이 0.33%포인트, 상단이 0.51%포인트 높아졌다.
심지어 A은행의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지난달 31일 3.47∼4.47%에서 이달 1일 3.68∼4.68%로 불과 하루 사이 상단과 하단이 모두 0.21%포인트 오를 만큼 상승 속도가 이례적으로 빠르다.
◇ 2개월 새 1%p↑…가산금리 올리고 우대금리 내리고
은행 대출금리 급등 요인을 나눠보면, 가장 큰 원인은 기준금리 인상과 기대 인플레이션(물가상승) 등의 영향으로 시장금리가 뛰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기준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지난 8월 말 1.891%에서 10월 말 2.656%로 약 두 달 새 0.765%포인트 높아졌다.
신용대출의 지표금리인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도 같은 기간 1.253%에서 1.743%로 0.49%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인 신규 코픽스도 현재 1.16%로, 8월 말 적용된 신규 코픽스(7월 기준 0.95%)보다 0.21%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최근 은행권 대출금리 인상폭이 모두 지표금리 상승만으로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2개월 새 지표 금리의 상승 폭은 아무리 커봐야 약 0.7%포인트 정도인데, 같은 기간 실제 대출금리는 1%포인트나 올랐기 때문이다.
나머지 상승분 0.3%p는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압박 속에 은행이 지표금리에 자체 판단으로 더하는 가산금리를 더 올리거나 거래실적 등을 반영해 깎아주는 우대금리를 줄인 탓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