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15일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는 2천311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9만5천명(0.8%) 감소했다.
취업자 수가 이처럼 급감한 것은 1999년 3월(-39만명)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취업자 수 증감폭은 지난해 10월 9만7천명, 11월 7만8천명으로 10만명을 하회한 이후 12월에는 -1만2천명으로 감소세로 돌아섰으며 1월 -10만3천명, 2월 -14만2천명을 기록했다.
정부는 이번 추가경정예산으로 연간 28만명의 취업자 증가 효과가 있겠지만 취업자 수를 증가세로 돌려놓을 수 있을지에 대해선 확답을 하지 못하고 있다.
연령대별 취업자 수는 15∼19세(-3만7천명), 20~29세(-16만2천명), 30∼39세(-19만7천명), 40~49세(-2만8천명) 등에서는 감소세였고 50∼59세(19만9천명), 60세 이상(3만1천명) 등은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25만8천명, 3.5%), 농림어업(2만2천명, 1.4%)에서 늘었고 제조업(-18만6천명, -4.7%), 도소매.음식숙박업(-13만6천명, -2.4%), 운수.통신.금융업(-8만1천명, -2.9%%), 건설업(-7만1천명, -3.9%)에서 줄었다.
임금근로자는 1천607만6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8만2천명(0.5%) 증가했지만 비임금근로자는 같은 기간 27만7천명 감소한 703만4천명이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작년 동월에 비해 27만6천명(3.1%) 늘어났지만 임시근로자는 8만3천명(-1.6 %), 일용근로자는 11만2천명(-5.4%) 각각 감소했다.
취업시간대별로는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295만4천명으로 작년 동월에 비해 31만3천명(11.8%) 증가했고, 36시간 이상은 1천991만9천명으로 52만4천명(-2.6%) 감소했다.
고용률은 57.9%로 작년 동월 대비 1.2% 포인트 하락했다. 실업률은 4.0%로 전년 동월대비 0.6% 포인트 올랐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406만2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만2천명(-0.2%) 감소했으며 경제활동참가율은 60.2%로 0.9%포인트 하락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587만5천명으로 52만5천명(3.4%) 증가했다.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를 보면 쉬었음(21만3천명, 16.2%), 가사(14만7천명, 2.7%), 통학(9만5천명, 2.2%), 육아(7만1천명, 4.6%), 연로(2만4천명, 1.6%) 등에서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구직단념자는 17만1천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7만1천명(70.5%) 증가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컨슈머타임스(Consumer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