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10년만에 2배 급증
상태바
'1인 가구' 10년만에 2배 급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김수정 기자] 작년 1인 가구의 비율이 10년 전 대비 2배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2년에 1차례씩 이뤄지는 '주거실태조사'의 작년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1인 가구 비율은 27.2%로 집계됐다.

직전 조사인 2014년 26.8%보다 0.4%포인트 비율이 높아졌다. 2006년 14.4%에서 10년 만에 2배가 된 것이다.

지역별 1인가구 비율은 수도권 25.9%, 광역시 27.0%, 도지역 29.3% 등 지방으로 갈수록 높아졌다.

주거 형태를 분석해보니 아파트가 전체 주거형태 중 가장 비중이 높았다.

작년 아파트의 비율은 48.1%로 2014년(49.6%)보단 소폭 낮아졌다. 같은 기간 단독주택 비율 역시 37.5%에서 35.3%로 줄었다. 이에 따라 아파트와 단독주택의 격차는 작년 12.1%포인트에서 올해 12.8%포인트로 확대됐다.

아파트는 2008년 단독주택을 제치고 최대비중을 차지한 이후 그 꾸준히 격차를 키워가고 있다.

거주 형태 분석 결과 '보증금 있는 월세'의 증가폭이 가파르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2014년 보증금 있는 월세(21.8%)는 전세(19.6%)를 2.2%포인트 차이로 처음 추월했다. 작년에는 보증금 있는 월세가 20.3%, 전세가 15.5%를 기록하며 격차가 4.8%포인트로 더 커졌다.

자가 비율은 2014년 53.6%에서 작년 56.8%로 높아졌다.

지표상 월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RIR)은 2014년 20.3%(중앙값 기준)에서 작년 18.1%로 감소했다. 전세에서 월세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전월세환산율이 하락한 탓이다.

RIR이 30%를 넘는 '주거비 부담 과다 가구' 비율은 27.1%로 조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