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피해 눈덩이 넘어 눈사태…살처분 2천500만 마리 돌파
상태바
AI 피해 눈덩이 넘어 눈사태…살처분 2천500만 마리 돌파
  • 김재훈 선임기자 press@cstimes.com
  • 기사출고 2016년 12월 24일 20시 44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란계(알 낳는 닭) 농가를 중심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피해가 확산하면서 전체 살처분 가금류 마릿수가 2천500만마리를 넘어섰다. 

2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0시 현재 AI 여파로 도살 처분됐거나 예정인 가금류 마릿수는 515농가, 2천548만 마리에 달한다.

이 가운데 10마리 중 7마리 이상이 닭이다. 

특히 알 낳는 닭인 산란계 농가의 피해가 심각하다. 국내 전체 산란계 사육 규모의 24.3%에 해당하는 1천695만9천 마리가 도살 처분됐다. 

번식용 닭인 산란 종계의 경우 사육 규모 대비 42.8%가 사라졌다. 번식용 닭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는 것은 산란계로 키울 병아리도 그만큼 줄게 돼 계란 부족 사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닭보다 사육 마릿수가 적고 영세한 농가가 대부분인 오리 농가도 타격이 심하다. 전체 사육오리의 23.9%에 해당하는 209만4천 마리가 도살됐다.

의심 신고가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들어오면서 AI 신고 건수는 108건으로 늘었고, 이 중 94건이 확진됐다.

확진을 포함해 예방적 도살처분 후 검사 과정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된 농가를 포함하면 245농가가 AI 양성판정을 받았다.

발생 지역도 8개 시·도, 31개 시·군에 이른다.

농가가 아닌 야생 조류 포획 및 분변 시료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된 건수는 28건으로, 이 중 한 건은 현재 유행 중인 H5N6형이 아닌 H5N8형으로 확진됐다.

한편, AI 피해가 확산하면서 가금류를 취급하는 외식업소도 적지 않은 손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

한국외식업중앙회 산하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은 전국 닭 취급점 46개소, 오리 취급점 48개소 등을 대상으로 표본 조사를 한 결과 AI 발생 한 달 만에 평균 54.8%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외식산업연구원은 "청탁금지법으로 일식·한정식·중식당 매출이 급감하고 일반 음식점까지 피해를 보는 등 악재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계란 대란'까지 벌어져 외식업계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현재까지 고위험군 중 사람 감염자가 한 명도 나오고 있지 않고 우리가 먹는 살코기에는 원인균이 없다는 점 등 국민 불안을 해소하는 정보는 보도되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소상공인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언론은 올바른 정보를 보도하고 정부기관은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방역대책에 총력을 기울여달라"고 요구했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