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산업 생산성, 20년 전보다 더 낮아져
상태바
국내 은행산업 생산성, 20년 전보다 더 낮아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은행산업 생산성, 20년 전보다 더 낮아져

[컨슈머타임스 조선혜 기자]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생산성이 20년 전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대 김세직 경제학부 교수와 미국 컬럼비아대 홍승기 대학원생(박사과정)은 한국은행이 발간한 '경제분석'에 본인들이 고안한 '은행 생산성 지표'를 이용해 국내 은행의 부가가치와 생산성을 분석한 논문을 이날 발표했다.

논문을 보면 2013년 기준 국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을 합한 은행 생산성 지표는 1.70으로, 22년 전인 1991년 1.73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은행 생산성은 1991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엔 마이너스 0.79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2007년 2.74로 정점을 찍었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등의 여파로 다시 하락세로 반전, 22년 전보다 낮은 수준으로 뒷걸음질 쳤다.

조사대상 기간인 1991∼2013년 중 국내은행의 생산성 지표 평균은 1.55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미국 은행산업 평균의 63% 수준이다. 조사대상 기간에 절반 이상의 기간은 생산성 지표가 1.7 이하에 머물렀던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개별은행의 생산성 지표는 2013년 기준 신한은행 1.99, 하나은행 1.83, 국민은행 1.57, 우리은행 1.23 등으로 평가됐다.

2013년 은행산업의 부가가치는 국내총생산(GDP)의 1.6%에 그쳐 1990년대 초 1.6∼2.1%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국내 은행의 생산성 급락을 유발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부실채권에 대한 비용처리를 꼽았다. 은행이 기업의 옥석을 제대로 가려내지 못해 일부 대출이 부실해지면서 덩달아 생산성이 떨어졌다는 의미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대출보다 담보 중심의 가계대출 비중을 급격히 늘리는데 치우쳐 기업에 자금을 공급하는 핵심능력을 키울 시간을 허비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연구진 측 설명이다.

2000년대 중반에 은행산업의 생산성 지표가 상승한 것에 대해선 급격한 자산증대와 신규 대출 증가에 따른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앞으로 가계∙기업대출이 대규모 부실로 이어지거나 핀테크 분야 등의 기술혁신 경쟁에서 뒤처지면 은행 생산성이 더 떨어질 수도 있다며 선제적 구조조정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