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잠실 일대 아파트.[연합]](/news/photo/202503/639774_555709_5158.jpeg)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3월에 이어 4월에도 서울 시내 아파트 분양 계획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논란으로 서울시내 아파트 가격이 불안정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공급절벽까지 현실로 다가오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공사비 급등, 정세 불안 지속으로 인해 당분간 서울 분양시장은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다음달 전국 분양예정 아파트는 32개 단지, 총 3만4212가구(임대 포함)다. 수도권에서는 1만8580가구가 분양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눈길을 끄는 것은 서울 시내 공급 물량이 '0'이라는 점이다.
서울은 3월에도 분양 제로를 기록한 가운데, 4월에도 공급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며 공급절벽이 현실화 되고 있는 모양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업계에선 계속해서 급등하는 공사비 상승으로 인한 분양 흥행 불확실성 증가, 탄핵 정국이 장기화로 인한 정세 불안정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미분양 우려 속 부동산 정책 변화 가능성 등이 점쳐지면서 건설사들이 공급 시기를 잡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상반기 내내 건설사들의 분양 시기를 포착하기 위한 관망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서울시가 발표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으로 인한 집값 급등까지 더해지면서 부동산 시장의 혼란만 더욱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월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4743건으로 전월 기록한 3233건보다 46%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 2월 서울시 송파구 잠실, 강남구 삼성, 대치, 청담동에 설정했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발표하며 눈길을 끌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1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연합]](/news/photo/202503/639774_555710_5219.jpeg)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을 해제하더라도 집값 상승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그의 판단과 달리 서울 집값은 토허제를 해제한 강남을 중심으로 빠르게 치솟았다. 결국 부동산 호황기로 평가받는 2018년 이후 가장 높은 집값 상승률을 기록하자 오 시장은 실패를 인정했다.
서울시는 지난 19일 서울 잠실과 삼성, 대치, 청담동에 설정했던 토허제 해제를 35일 만에 번복했다. 그러면서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까지 대상을 확대하는 극약 처방을 내렸다.
오 시장은 당시 "서울시의 주택 사업을 담당하는 인력들은 대부분 주택 공급에 초점을 맞춰 시장 반응 등 수요 측면을 면밀하게 살피는 데는 다소 부족했다"면서 "전문적인 인력을 구성해 부동산시장을 종합적으로 분석·예측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이미 서울 시내 부동산을 좌우하는 강남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요동치는 가운데, 정부의 오락가락한 부동산 정책에 대한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뒤늦게 서울시가 부동산 시장 전담 조직을 설치하면서 진화에 나섰지만, 이미 과열된 시장을 잠재우기는 역부족이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공사비 급등과 부동산 시장 경색으로 인해 서울시내 아파트 공급이 사실상 중단된 가운데, 정부의 섣부른 판단으로 인한 토허제 해제로 집값은 오히려 치솟는 부작용이 나타난 사태"라며 "불안정한 정국이 지속되는데다, 정부의 오락가락한 정책으로 인해 시장의 신뢰도가 추락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거 연이은 부동산 규제로 인한 시장의 피로감이 극에 달한 가운데, 공급마저 원활하지 않아 시장의 불확실성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으로 인해 거래시장까지 관망세에 접어들면서 향후 시장의 향방을 예측할 수 없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