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퇴직'에 '알짜카드' 단종까지…긴축 들어간 카드사
상태바
'희망퇴직'에 '알짜카드' 단종까지…긴축 들어간 카드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김하은 기자 | 카드업계가 최근 희망퇴직에 이어 이른바 '알짜카드 단종', '무이자 할부 축소'까지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내수 부진과 정국 불안으로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지난해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를 단행하자 수익성에 경고등이 켜진 탓이다. 

18일 카드업계와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국내 8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하나·우리·비씨)는 지난해 595종의 카드 발급을 중단했다. 

종류별로 보면 신용카드 482종, 체크카드 113종의 신규·교체·갱신 발급을 정지했다. 지난해 단종 카드는 전년(458종) 보다 30% 가까이 급증했다. 

소비자 혜택도 대폭 축소하는 추세다. 카드업계는 올해 들어 6개월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전면 중단하고, 최대 5개월만 제공 중이다. 

예를 들면 우리·BC카드는 최대 4개월로, 신한·국민카드는 5개월에서 3개월로 단축했다. 현대카드의 경우, 지난해부터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3개월로 축소한 바 있다. 현재 전업 카드사 중 6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사는 전무한 상태다. 

인건비 절감을 위해 희망퇴직도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연초까지 희망퇴직을 단행하는 카드사는 전업 카드사 8곳 중 절반인 4곳에 달한다.

신한카드는 지난달 초부터 1968년생부터 1974년생 임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총 62명을 감원했다. KB국민카드는 2021년 11월 이후 약 3년 만에 희망퇴직을 단행했다. 하나카드도 올해 초 15년 이상 근속 직원 중 만 40세 이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이처럼 카드사들이 연이어 희망퇴직을 시행하는 이유는 '비용절감' 때문이다. 희망퇴직을 단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상당한 비용을 감수해서라도 정년까지 고용하는 것보다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사실상 카드업계는 올해 들어 △내수부진에 따른 소비위축 △규제 강화 △수익성 악화라는 '3중고'를 맞닥뜨렸다. 특히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의 '신용카드사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정책' 시행으로 연 최대 3000억원에 달하는 순이익 감소가 예상된다. 

금융위는 2012년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 이후 3년마다 적격비용을 재산정하는데, 지금까지 다섯 차례 모두 수수료율 인하로 이어졌다.

실제 금융위는 지난달 영세·중소 가맹점의 수수료 부담을 줄이는 '카드 수수료율 개편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금융위는 신용카드 기준으로 연매출 3억원 이하 가맹점, 연매출 3~5억원의 가맹점, 연매출 5억~10억원의 가맹점 모두 0.1%씩 포인트를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이 같은 소상공인 우대 정책으로 되레 다수의 불특정 금융 소비자가 혜택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카드사들이 수익성 악화에 따른 손실을 선반영하고, 연체율 상승을 막기 위해 소비자 혜택 축소 방안을 내세운 것이다.

여기에 올 7월 예정된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카드론 포함 검토)까지 감안하면 카드론 증가세가 둔화될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장기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과 금리인하 지연 등으로 조달비용이 늘어나는 상황"이라면서 "수수료율 인하로 부담이 커진 카드사들이 비용 절감을 해서라도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