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이 먼저 찾는 해양안전 정보" 해양교통안전공단, '네이버 밴드 가입자' 4만 명 돌파
상태바
"고객이 먼저 찾는 해양안전 정보" 해양교통안전공단, '네이버 밴드 가입자' 4만 명 돌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필요한 정보 찾을 수 있어 가입해요"
지역 밀착형 공공서비스 소통 채널로 인기
여객선 운항 예보·선박검사 제도개선 등 수요자 체감하는 양질 정보가 요인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의 여객선 운항정보 및 지사 네이버 밴드 가입자 수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의 여객선 운항정보 및 지사 네이버 밴드 가입자 수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섬 주민과 연안여객선 이용객, 어업인 등이 먼저 찾고, 체감하는 지역 밀착형 공공서비스 소통 채널이 화제가 되고 있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은 전국 연안여객선 운항 정보와 선박검사 제도 등을 지역 단위로 공유하는 공단 네이버 밴드의 누적 가입자 수가 최근 4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현재 공식 누리집과 각종 SNS 채널 외에도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 Maritime Transportation safety Information System), 카카오 챗봇 '해수호봇', 전국 운항관리센터와 지사별 네이버 밴드 등 각종 대국민 온라인 소통 창구를 운영하고 있다.

이중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네이버 밴드는 전국 운항관리센터별로 운영하는 '여객선 운항정보' 채널 11개와 지사별 채널 17개가 운영 중이다. 2018년 3,800여 명으로 시작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밴드 가입자는 해마다 꾸준히 늘었다. 올해 5월 기준 4만 명을 돌파하며 7년간 약 10배 증가했다. 

통상 동호회 기반 커뮤니티로 알려진 '네이버 밴드'는 가입 신청과 승인을 거쳐야 하는 구조다. 얼핏 접근성이 낮아 보이지만 오히려 그 때문에 정보의 품질과 체감도는 높아질 수 있다. 

이용자들 사이 댓글이나 공감 기능이 실명으로 이뤄져 소통의 신뢰도도 커진다. 실제 네이버 밴드가 지역 단위 운항관리센터와 지사를 중심으로 운영되면서 지역 여객선사와 조선소, 섬 주민과 어업인 등이 상호작용하는 소통 창구로도 기능한다는 평이다. 불특정 다수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다른 온라인 채널과 가장 큰 차이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일찍이 'X(옛 트위터)' 등 각종 채널과 비교 운영한 결과 모바일 환경과 중장년층까지 고려해 이용자 접근성이 가장 높았던 온라인 플랫폼을 채택했다"고 말했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네이버 밴드가 다른 소통 채널에 비해 활발한 이유는 섬 주민, 어업인, 선박 관련 종사자 등 공단의 핵심 정책 고객에게 꼭 필요한 양질의 정보가 적재적소에 제공됐기 때문이다.

'여객선 운항정보' 네이버 밴드에서는 △내일의 여객선 운항 여부 예보 △관내 해역 교통혼잡도 예측 정보·주의 운항 구간 △주요 시간대 여객선터미널 혼잡 상황 등을 제공해 여객선 이용 편의를 돕고 있다.

특히 최근 2년간 명절 특별수송 기간에는 입·출항 전후 시간대 여객선터미널 일대 승선장 혼잡 상황(승선 대기 차량 현황 등)을 드론으로 촬영하고 하루 10회 이상 제공해 여객선 이용객의 편의를 높였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지사 네이버 밴드에는 △선박검사 제도 개선 사항 △안전운항 정보 △어업인을 위한 해양교통안전정보(MTIS) 모바일앱 활용법 등이 올라온다. 

김준석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해양안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앞으로도 온라인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해양안전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고 현장의 자발적 안전관리 기반을 다져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