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집값 하락 등의 여파로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이 23개월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67.7%다. 이는 2022년 12월(67.3%) 이후 2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KB의 아파트 전세가율은 2022년 11월(67.8%) 조사 대상 표본을 개편한 이후 하락하기 시작해 금리 인상 여파로 전셋값이 약세를 보이고 역전세난이 지속된 작년 8∼9월에는 65.8%까지 떨어졌다.
이후 전셋값이 다시 오르고, 매매가보다 상승 폭이 커지면서 전세가율도 1년 이상 상승세가 지속 중이다.
11월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전월 대비 0.57% 하락한 반면, 전셋값은 2.21%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 10월 53.9%에서 11월은 54%로 0.1%포인트(p) 올랐다.
이달 서울 아파트값은 전월 대비 2.49% 오른 데 비해 전셋값은 6.78% 올라 상승 폭이 더 컸다.
자치구별로는 강북구(62.6%), 중랑구·금천구(62.0%), 성북구(61.4%), 관악구(61.2%), 은평구(60.8%), 서대문구(60.1%) 등의 전세가율이 60%를 넘었다.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구(42.3%)와 송파구(45.0%), 서초구(46.7%) 등 강남3구는 전세가율이 50%에도 못 미쳤다.
전국에선 경기도 이천(79.0%)과 충북(78.7%), 전남(78.6%), 경북(78.2), 전북(78.0%) 등은 전세가율이 높아 8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최근 전세가율이 상승하고 있지만, 당장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수하는 갭투자가 늘어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오히려 대출 규제와 집값 하락의 우려로 투자수요가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