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흥건설그룹 본사.[중흥]](/news/photo/202411/620362_535066_4426.jpeg)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정부가 민간택지에 다수 계열사를 입찰시켜 당첨확률을 높인 중견건설사들에 대한 제재에 착수했다. 입찰로 따낸 일감을 계열사에게 나눠주는 등의 부정행위 등을 적발해 과징금 등 처벌을 내리는 가운데, 우미·중흥 등 벌떼입찰 의혹을 받는 건설사들이 긴장하는 분위기다.
2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중흥·호반·대방·우미·제일건설 등 5개 건설사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LH가 분양한 공공택지 물량 178필지 가운데 67필지를 낙찰받았다. 이 과정에서 이들 회사는 자회사를 총 동원한 이른바 '벌떼 입찰'을 통해 당첨확률을 높인 것이란 의혹을 받아왔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2022년부터 벌떼입찰로 공공택지 개발 사업을 따낸 중견건설사들에 대한 조사를 이어간 바 있다. 제일건설이 지난 10월 처음으로 과징금 96억8900만원을 부과받은 가운데 다른 중견사들에 대한 강도높은 조사를 예고하고 있다.
최근 공정위는 중흥건설그룹의 계열사 부당 지원 의혹에 대한 본격적인 제재에 돌입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공정위 측은 "중흥그룹 총수 2세가 소유한 회사도 부당 지원 혜택을 본 것으로 파악했다"며 제재의 이유를 밝혔다.
중흥건설그룹이 받는 의혹은 100억원 규모의 계열사 부당 일감 몰아주기다. 중흥건설은 수년 동안 공공택지지구 낙찰의 당첨확률을 높이기 위한 벌떼 입찰을 이어왔다.
이를 통해 수주한 공공택지 개발 사업의 일감을 계열사에 나눠 주고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에 대해 무상 지급보증을 했다는 게 공정위 측의 설명이다.
공공택지 입찰의 경우 '한 건설사 당 하나의 입찰권만 행사한다'는 원칙이나 계열사를 총 동원하면서 시장의 질서를 교란시켰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당국은 중흥건설그룹 계열사들이 받은 부당 혜택의 규모가 100억원대로 추산하고 있다. 이에 따른 과징금 규모도 수백억원대에 이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우미건설 사옥의 모습.[우미건설]](/news/photo/202411/620362_535067_450.jpeg)
중흥건설그룹 외 우미건설 역시 벌떼입찰 의혹을 받는 대표적인 건설사 중 한 곳이다.
우미건설은 최근 몇 년간 공공택지 입찰에서 낙찰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계열사를 늘려왔다는 지적을 받으면서 의혹을 쌓아왔다.
이에 최근 몇 년간 자회사 정리에 속도를 내며 사태를 수습하는 모양새다. 우미건설은 지난해 우산건설, 선우산업, 더블유엠건설, 중림건설 등 4곳을 흡수‧합병했다.
이미 지난 2022년 인적분할 등을 거친 지배구조 개편을 이어온 우미건설은 동우개발과 산해건설, 다안건설, 명가산업개발 등 다수 자회사를 합병하는 작업을 이어왔다.
우미건설 측은 이에 대해 "지배구조 단순화를 통한 경영효율성 제고"라고 설명했지만, 벌떼입찰로 인한 정부의 제재가 이어진 데 따른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실제 우미건설은 지난 2008년부터 2018년까지도 32개 페이퍼컴퍼니로 1231회 입찰해 LH가 분양한 공공택지 473개 중 22개 필지에 당첨된 바 있다. 당시 시흥 등 수도권 택지지구에서 대규모 주택공급에 성공한 우미건설은 단숨에 건설업계 20위권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후 2019년 7월부터 2021년 3월까지 LH가 공급한 83개 공공택지 중 11개를 따내는 과정에서도 22개 자회사를 동원해 958회의 입찰을 진행한 바 있다.
올해 1월과 9월 공정위와 국세청의 조사를 받은 우미건설은 앞으로도 자회사 정리에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벌떼 입찰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의 제도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10년 이상 이어져 온 건설업계의 대표적인 불공정 관행인 벌떼입찰을 뿌리뽑기 위해선 과징금 등 사후조치 외에 정부차원에서의 강력한 방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현재 시공능력평가순위 산정과정에서의 감점, 적발시 과징금 부과 등의 솜방망이 처벌만이 존재할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자체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적발시 당첨취소 및 입찰제한 등의 강력한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입찰에 응모한 기업에 대한 제대로된 실질조사 방안 마련도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