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원가율 관리에 어떤 영향 미칠지 '주목'
![[연합]](/news/photo/202410/613962_528241_239.jpg)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최근 건설사들의 공사비 원가율이 90%를 넘어서며 실적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일부 건설사들은 100%넘는 원가율로 인해 '지으면 손해'인 구조까지 사태가 심각해졌다.
정부가 '중국산 시멘트 수입 검토', '가구 등 건자재 담합 단속' 등으로 공사비 잡기에 나서면서 '건설업계 원가율 관리'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주목된다.
11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건설공사비 지수는 지난 2020년 100에서 2021년 111.48으로 올랐다. 이어 2022년 123.81에서 2023년 127.90로 3년간 2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수가 높을수록 원가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건설경기가 호황을 누리던 2020년까지만 해도 건설사들의 평균 원가율은 80%대였다. 집을 지으면 커다란 변수가 없는 한 20%의 마진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었던 셈이다.
그러나 코로나19를 거치며 원가율은 90~95% 수준으로 치솟았고,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최근에는 100%를 넘긴 회사도 드물지 않다. 즉, '집을 지으면 손해'인 수익구조로 전락한 셈이다.
건설사들이 집을 지어야 할 이유가 없어지면서 신규 수주 역시 급감하고 있다. 설령 수주에 나서더라도 재건축, 재개발 사업지 등에서 조합과의 공사비 증액관련 갈등이 이어지면서 제대로 된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현재 상황이다.
이에 정부가 칼을 빼들었다. 앞서 정부는 시멘트 가격의 고공행진에 대한 경고성 조치로 원가가 낮은 중국산 시멘트를 수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에는 시멘트, 레미콘, 가구 등 주요 자재를 중심으로 불공정 관행을 점검하겠다고 나서면서 '공사비 잡기'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상황이다.
특히 정부는 '시멘트 가격인하'를 압박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2022년 이후 시멘트 원료의 25~40%를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은 떨어졌는데 오히려 공급가격이 오른 것을 꼬집은 것이다.
그러나 건설업계에서는 시멘트 등 건자재 가격 관리만으로는 원가율 상승을 잡기에 역부족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건자재의 인상 역시 원가율 상승 요인으로 꼽히지만, 정작 근본적인 문제는 다른 곳에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정부의 건설현장에 대한 규제가 과도하다는 것이다. 현장의 주 52시간제 도입을 비롯해 오후 5시 이후 콘크리트 타설 금지 등 현장의 상황에 맞지 않는 법규가 도입된 데 따른 인건비 상승이 원가율 상승에 큰 요인이라는 게 건설업계의 설명이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시멘트 등 건설 핵심 재료의 가격 상승도 원가율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요소지만, 결국 핵심은 정부차원의 과도한 규제에 따른 인건비 상승, 공기지연"이라며 "현장에서 어려움을 토로하는 것은 결국 인건비 인데, 이를 해결할 만한 외국인 숙련공 도입관련 법안 등은 여전히 답보상태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내년부터 친환경 자재 등을 사용하도록 하는 '제로건축물 인증 의무화'까지 더해지면 원가율 관리에는 더욱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며 "이런 것들이 쌓이면 결국 주택착공이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공급을 가로막아 집값 상승을 부추길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