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임차인 허위 전출신고 후 담보대출 의심 사례 적발…수사 의뢰
상태바
서울시, 임차인 허위 전출신고 후 담보대출 의심 사례 적발…수사 의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장용준 기자| 서울시가 최근 주택 임차인과 관련 없는 제3자가 임차인 몰래 허위로 전출신고를 한 뒤 임대인이 주택담보 대출을 받은 범죄 의심 사례를 적발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시 측이 8일 밝힌 해당 범죄 의심 실 사례를 살펴보면, A씨는 지난 1월 27일 자신이 세대주로 있는 주택에 일면식도 없는 B씨와 C씨를 동거인으로 전입 신고했다. 이후 같은 달 31일 B씨와 C씨가 세 들어 살던 건물 소유자이자 임대인 D씨가 건물로 전입신고를 한 뒤 대부업체를 통해 주택담보 대출을 받고 근저당을 설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일반적으로 임차인이 나가면 선순위 임차보증금이 사라져 대출을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B씨와 C씨는 전출입 변동 사실을 몰랐다. 이에 기존 주택의 임대차계약이 만료하기 전에 전출이 이뤄지면서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대항력을 상실할 위험에 빠졌다.

A씨는 이후에도 인접한 지역에서 같은 방법으로 기존 임차인을 다른 주택으로 허위 전입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똑같은 수법으로 임차인이 거주하던 기존 건물에는 건물 소유자인 임대인이 전입해와 근저당을 설정한 것이다.

시 측은 A씨가 B씨와 C씨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한 뒤 통상 세대주가 동주민센터를 방문해 동거인 전입신고를 할 때 신분증을 확인하지 않는다는 점을 악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해당 임차인에게 피해가 없도록 자치구에 주소변경 이력을 삭제토록 했다. 아울러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한편 정부에는 이와 관련한 법령(주민등록법 시행령 제23조 제2항) 개정을 건의했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시민들은 전입신고 시 신고자와 전입자 신분 확인에 적극 협조하고, 공공기관에서 전입신고 등 주민등록 관련 행정처리 연락을 받으면 주의와 관심을 기울여달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