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북한산성 사료총서 제6권' 발간
상태바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북한산성 사료총서 제6권' 발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총융청등록·총융청사례 완역·해제·원문 수록
경기문화재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협력사업 첫 수확
(사진제공=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사진제공=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컨슈머타임스 안우진 기자]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원장 이지훈)은 북한산성 사료총서 제6권을 발간, 관련기관에 배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북한산성 사료총서 제6권은 북한산성을 관리, 감독, 운영하였던 총융청의 기록으로 현재 남아 있는 등록과 사례를 모두 완역해 관련 전문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했다.

이번에 발간된 총융청 관련 기록은 경기문화재연구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 지난해 업무협약을 맺고 번역 및 학술교류를 추진하는 사업의 첫 결실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올해 하반기에는 관련 학술심포지엄도 개최할 것을 밝혔다.

이번에 발간되는 제6권 '총융청등록·총융청사례'는 조선후기 중앙 군영 중 하나이자 북한산성을 관리했던 총융청에서 작성한 등록으로 현재 남아 있는 전책(3책)을 번역했다.

총융청은 1624년(인조 2)에 수도 외곽의 수비를 강화하기 위해 설치한 군영으로 인조반정 이후 경기군(京畿軍)을 정비하고 이서(李署)의 관할군을 총융군(摠戎軍)이라 한 것이 시초이다. 총융청은 본청인 내영이 도성에 있고 주 방어거점인 외영은 북한산성에 있으면서 수도 외곽에서의 도성 방어를 주요 임무로 맡았다.

외영에는 북한산성을 관장하는 관성소(管城所)를 두었으며, 행궁(行宮)도 설치하였다. 숙종 대에 경리청(經理廳)을 설치해 북한산성을 관장하게 했으나 1747년(영조 23)에 폐지해 총융청이 북한산성을 전담하게 했다.

또한 총융청의 실무지침서에 해당하는 사례를 전책(1책) 번역했다. '사례(事例)'에는 첫째, 규례 또는 규칙 등 해당 관청의 실무지침이 포함되며 둘째, 법전에서 포괄하지 못한 하위 규정으로 모든 집행 활동의 근거가 되는 내규, 그리고 셋째, 해당 관청의 예산을 집행하는 근거 규정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되는 총서는 이러한 총융청과 관련된 등록과 사례를 모두 번역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으며 연구자들의 필요에 의한 부분 번역이 아니라 본 연구원에서 전체를 번역해 아마도 향후에는 연구자들에게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경기문화재연구원은 국가사적 북한산성에 대한 체계적인 학술연구 기반을 제공하고 2017년부터 세계유산 등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집대성하는 사료총서 발간 작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2017년 제1권 '고지도·옛사진 모음집'발간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제2권 '다시 읽는 북한지'와 제3권 '북한산성 유산기', 2020년 제4권 '북한산성 인물총서', 2021년 제5권 '풍천유향'을 연차적으로 발간한 바있다.

경기문화재연구원 이지훈 원장은 현재 추진 중인 북한산성 사료총서 발간사업과 관련해 "경기도는 남한산성과 수원화성 등 성곽관련 세계유산을 2건 보유하고 있다"며 "향후 지속적으로 고양 북한산성, 오산 독산성 등 국내 성곽유산의 옛 사료를 발굴, 연구, 번역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그 가치성을 세계적으로 알리는 작업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