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이주열 등 '금융산업 혁신, 위기관리 철저' 강조
상태바
최경환-이주열 등 '금융산업 혁신, 위기관리 철저' 강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경환-이주열 등 '금융산업 혁신, 위기관리 철저' 강조

[컨슈머타임스 조선혜 기자] 최경환, 이주열 등 경제·금융 수장들이 신년인사 자리에서 금융산업의 혁신과 위기에 대비한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국은행연합회 등 6개 금융업권별 협회가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2015 범금융기관 신년인사회'를 개최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신년인사회 축사에서 "대출보다는 지분투자 방식으로 신성장산업의 투자위험을 분담하는 30조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촉진 프로그램을 만들어 실물경제를 지원하는 성공 사례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산업이 새로운 미래금융·창조금융으로 변화하고 명실상부한 고부가가치 유망서비스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열어가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핀테크, 인터넷 전문은행 등 '보다 가볍고 빠른 플레이어'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업권 간 칸막이를 완화해 금융산업에 경쟁과 혁신적인 변화를 촉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올해 주요국 통화정책 방향의 엇갈림이 분명해지면서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한층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결제은행(BIS)은 세계적으로 금융부문의 위험추구 성향이 과도함을 지적했었다"면서 "어느 한 국가의 금융위험이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확산될 수 있으므로 이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신년사로 덕담보다는 경고성 메시지를 던진 데 대해 "새로운 각오를 다지자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도 신년사에서 가계부채∙부실기업 등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강조했다.

신 위원장은 "금융산업을 위협하는 리스크 요인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금융안정'을 반드시 수호해야 한다"며 "가계 빚의 체질 개선과 기업 부실위험의 상시적 관리에 역점을 두고 시장질서를 확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공자의 '정명'(正名)을 언급하며 금융이 '자금의 중개'라는 본래의 이름에 걸맞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진 원장은 "한국 금융이 실물경제를 힘차게 견인함은 물론 금융산업이 새로운 성장산업으로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혁신을 선도해 경제활성화의 한 축을 담당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신년인사회에는 전국은행연합회를 비롯해 금융투자협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상호저축은행중앙회, 여신금융협회 등 전 금융업종 기관장과 관계자 1200명이 참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