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자료사진 |
[컨슈머타임스 임상현 기자] 차량 급발진사고에 대한 정부의 조사가 최근 '이상없음'으로 결론난 가운데 소비자들 사이에 불안한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수백건의 피해사례 중 불과 6건만을 다뤄 근거가 빈약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차량이 가속됐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음에도 이를 면밀히 검증하지 않았다는 비난도 쇄도하고 있다.
◆ 국토부 "사고 원인 발견 못해"
10일 정부와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급발진이 의심되는 현대자동차 YF쏘나타, BMW528i 등 사고차량에서 기계적 결함을 발견하지 못했다.
두 차량은 지난해 5월 대구 효명동 앞산순환도로와 2011년 11월 서해안고속도로 서해대교에서 각각 통제불능 상태로 과속해 대형 인사사고를 낳을 뻔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사고기록장치(EDR)을 분석했으나 운전자가 당시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두 차량에 비슷한 의견을 냈다.
BMW528i 운전자의 경우 브레이크가 작동됐다는 내용의 증거자료를 제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제작사인 BMW가 제출한 모의 충돌 소명자료를 분석한 결과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동등이 켜지고 브레이크 잠김방지장치(ABS)가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이유에서였다.
국토부가 결함을 찾아내지 못함에 따라 제조사에 일정 정도 '면죄부 효과'를 줬다는 분석이다.
한국소비자원에는 작년 245건의 급발진 관련 상담이 접수됐다. 앞서 언급한 현대차와 BMW외에도 한국GM, 르노삼성자동차 등 국내외 완성차 업체들 상당수가 거명되고 있다.
6대의 사고차량에 한정된 국토부의 이번 조사가 어느 정도 신뢰성을 담보하고 있는지에 불편한 시각이 나오는 배경이다.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김필수 교수는 "정부가 지금까지 (급발진 추정사고에 대해) 3번 발표했는데 모두 똑같은 내용이고 해결된 것이 없다"며 "정부의 신뢰도만 하락시켰고 소비자들의 의심만 증폭시켰다"고 꼬집었다.
그는 "몇 건의 사례만 가지고 급발진 원인을 밝힌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며 "급발진 사고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는지 여부인데 조사에서 참고된 사고기록장치(EDR)와 블랙박스를 통해서는 명확히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완성차 업계는 표정관리에 한창이다.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는 "정부 조사결과 이상 없는 것으로 나와서 (완성차 업계는) 일단 한숨 돌렸다는 분위기"라면서도 "앞으로 추가적인 (급발진 관련) 조사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내부적으로 원인분석과 대책마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