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피 [copy] 1. 같은 말 : 복사(複寫), 2. '모사'로 순화. (포털 '다음' 국어사전 참조)
국내에 '카피바람'이 거세다. 카피제품이 생활 속 곳곳에서 넘쳐나고 있다. 관심을 갖지 않는 이상 어느 것이 '원조'제품인지 소비자들은 알아차리기 어렵다.
가짜를 의미하는 '짝퉁'과는 거리가 멀다. 만드는 업체가 분명하고 생산단계가 투명하다. 그럼에도 소비자는 불쾌하다. 원조인양 과시하고 당당히 광고하는 '철면피'에 기가 찬다. '진짜' 혹은 '원조'를 추구하는 소비자 패턴은 국적을 불문한다. '비슷하게 보이지만 아니다'는 반론이 나올 법 하나 판단은 소비자에게 맡긴다.
중국산 '짝퉁'을 의미하는 '산자이'. 그랬던 산자이가 최근에는 글로벌 기업들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고 한다. 진짜를 뛰어넘는 '카피제품'이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기술력이 중심에 있다.
'카피제품'이 얼마만큼 진일보 했을까. 얼마만큼 차별화를 뒀을까. '모방'만 하고 '창조'는 게을리 하지 않았을까. 본보는 국내 식∙음료, 화장품, 문구 등 업계 전반에 불고 있는 '카피제품'의 단면을 들여다 봤다. [편집자주]
![]() |
||
◆ 어육튀겨 바삭… 주전부리계 샛별 '꾸이맨'
'맛이나 재미, 심심풀이로 먹는 음식.' 주전부리의 사전적 의미다. 배가 고파서 먹는 것이 아닌 말 그대로 구진한 입을 달래기 위해 먹는 간식이다. 이러한 주전부리의 대표 주자가 쥐포나 오징어 등 씹을 거리일 것이다.
그러나 최근엔 쥐포 등을 튀겨 바삭함을 더한 동시에 다소 질긴 식감을 없애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한 형태의 주전부리가 인기다. 한번 튀긴 제품이기 때문에 따로 구울 필요가 없어 개봉 즉시 바로 먹을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그 대표적인 제품이 경진식품의 '꾸이맨'이다. 업체 명은 다소 생소할 수 있으나 튀긴 형태의 '어육가공품' 중에서는 원조나 다름없다. 그만큼 소비자들 사이에서 입소문도 나 있다.
2인조 여성그룹 다비치 멤버 강민경의 가방 속을 열어 봤더니 간식거리로 '꾸이맨'이 들어 있었다는 것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기도 했을 정도다.
명태살을 가공해 만든 '꾸이맨'은 가공버터를 사용해 맛을 냈다. 개당 23g 84kcal다. 동그랗고 납작한 용기에 벗겨내는 식의 밀봉 필름이 붙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바삭한 식감의 제품을 부서지는 것 없이 유통하기 위한 업체의 고심이 드러난다.
겉의 필름을 벗겨내면 4장가량의 튀진 어육포가 겹겹이 쌓여있다. 접시 등에 덜어낼 필요없이 포장을 제거하는 것 만으로도 바로 시식 가능하도록 디자인된 용기다.
'미투'상품으로 팔도 '꾸이꾸이'와 빙그레 '꽃게랑 구이'가 있다. 어육을 가공해 바삭한 맛을 더한 것 외에도 납작한 용기 등 제품 포장, 해산물이 등장하는 디자인이 유사하다. 다만 '꾸이맨'이 길쭉한 타원형이라면 이 제품들은 동그란 원형이다.
팔도 제품의 경우 연육에 옥수수가루를 사용해 고소함을 더한 것이 특징이다. '꾸이맨'과 비슷하게23g 85kcal다.
빙그레 제품은 어육에 국산 꽃게를 더했다고 안내하고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꽃게엑기스 3% 추가에 불가하지만 이 덕분에 다른 제품들과는 차별점을 두고 있다는 평가다. 용량과 칼로리는 타 제품들과 동일하다.
그러나 최근엔 미투제품의 컨셉과 디자인, 맛 등이 서로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흡사해 '원조'제품 제조사 측의 불만이 극에 달해 법정공방을 예고하고 있어 주목된다.
중소기업의 제품이 히트상품 반열에 오르자 대기업들이 나선 것이라는 지적이다.
경진식품은 팔도, 빙그레 등을 대상으로 상표권 및 노하우 표절 혐의로 소송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컨슈머타임스 김한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