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 '안전한국훈련 복합 재난 현장 대응 역량' 점검
상태바
한국수자원공사, '안전한국훈련 복합 재난 현장 대응 역량' 점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월 20일 섬진강댐에서 11개 기관 참여해 실전 훈련. 대응체계 합동점검
지진·화재 등에 초동대응부터 복구까지 전 과정 국가 기반 보호 역량 강화
5월 20일, 대전 본사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사진 오른쪽)이 훈련을 주재하고 있다.이날 한국수자원공사는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하고, 전북 섬진강댐에서 지진·화재·정전 등 복합 재난 상황을 가정한 실전 훈련으로 댐의 대응 역량을 집중 점검했다.
5월 20일, 대전 본사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사진 오른쪽)이 훈련을 주재하고 있다.이날 한국수자원공사는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하고, 전북 섬진강댐에서 지진·화재·정전 등 복합 재난 상황을 가정한 실전 훈련으로 댐의 대응 역량을 집중 점검했다.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5월 20일 전북 섬진강댐에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하고 지진·화재·정전 등 복합 재난 상황을 가정한 실전 훈련으로 댐의 대응 역량을 집중 점검했다.

이번 훈련은 용수공급과 홍수조절이라는 댐의 본연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재난 상황을 가정해 국민 안전을 우선에 두고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를 점검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훈련에는 영산강홍수통제소, 전북도청, 임실군을 비롯해 소방, 경찰 등 총 11개 관계기관이 함께 참여했다.

시나리오는 지진 발생으로 섬진강댐에 구조 손상과 누수 등이 발생하는 것을 가정했다. 이로 인해 6개 지자체 일부 구역에 주민대피 조치가 내려지는 등 실제 위기 상황에 준하는 훈련이 진행됐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초기 상황인지 후 신속한 상황전파, 위기수준 판단, 긴급 방류와 주민대피 완료를 목표로 대응매뉴얼에 따른 전 과정 점검을 실시했다. 본사, 본부, 현장 3자 간 동시 연결 중계로 실제와 같은 여건 속에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특히 재난안전통신망 기반으로 실시간 현장 연결을 유지했으며 드론, 열화상 카메라, 수중 로봇 등 디지털 기술도 투입되어 상황인지부터 시설물 복구까지 실전 대응력을 검증했다. 또한 관계기관과 연계해 재난 상황을 공유하고 필수 구호물자 확보와 긴급 구난 등 적극적인 조치를 이행했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용수공급과 홍수조절 등 국민의 일상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국가 기반시설인 댐이 지진, 홍수 같은 재난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준비된 대응체계를 유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해 식수·화재 복합재난 대응훈련으로 안전한국훈련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올해는 4월부터 홍수기를 앞두고 전국 댐 대상 모의훈련을 이어가는 등 대응 역량을 지속 보완해나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