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컴, 행안부에도 '한컴어시스턴트' 공급…공공 AI 시장 선도
상태바
한컴, 행안부에도 '한컴어시스턴트' 공급…공공 AI 시장 선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이어 행안부 '2025년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구축' 사업 참여
한컴 본사 전경.[사진=한글과컴퓨터]
한컴 본사 전경.[사진=한글과컴퓨터]

컨슈머타임스=이승구 기자 |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가 행정안전부에 자사 인공지능(AI) 문서 작성 설루션 ''한컴어시스턴트'를 공급해 공공 부문의 AI 시장을 선도한다.

한첨은 행안부가 추진하는 '2025년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한다. 

이는 올해 초 삼성SDS와의 컨소시엄으로 '국회 빅데이터 플랫폼'(AI 국회) 1단계 사업을 수주한 데 이은 공공 부문 연속 성과다.

이번 사업은 공공 업무 환경에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반의 지능형 워크스페이스를 도입하는 데 중점을 둔다. 삼성SDS가 주도하는 이 프로젝트는 △생성형 AI △웹 오피스 △협업·소통 도구 △AI 행정 지원 서비스 등 최신 기술을 융합해 공무원의 업무 방식을 개선하고, 전반적인 행정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특히 온나라 시스템(행안부가 운영하는 공무원용 서비스) 내에서 분산 운영되던 메일, 메신저, 화상 회의 등 다양한 기능을 하나로 통합해 AI 기반 협업 환경과 문서 편집 기능이 결합된 디지털 업무 공간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컴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웹 기반 '한컴오피스 웹'과 '한컴어시스턴트'를 SaaS 방식으로 공급한다.

한컴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웹 기반 '한컴오피스 웹'과 AI 문서 작성 도구인 '한컴어시스턴트'를 SaaS 방식으로 공급한다. 언제 어디서든 접속할 수 있는 작업 환경과 실시간 공동 편집 기능을 제공해 협업 생산성을 높일 계획이다.

사업 1단계는 올해 두 개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된다. 오는 2026년부터는 전 부처로, 2027년 이후에는 전국 지방자치단체로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최종적으로는 약 70만 명에 달하는 공무원이 한컴의 클라우드 기반 웹 오피스와 AI 협업 도구를 활용하게 되는 대규모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다. 

한컴은 이 과정에서 축적된 SaaS, AI, 클라우드, 협업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향후 공공 부문의 AI 기반 디지털 혁신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한컴은 이번 기회를 계기로 공공 부문을 넘어 민간 기업 대상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에도 본격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김연수 한컴 대표는 "지능형 관리체계 구축 사업 참여는 한컴의 AI, 클라우드, 협업 기술이 공공 업무 혁신에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시킨 계기"라며 "국회에 이어 행정안전부까지 주요 프로젝트를 잇달아 맡게 된 만큼, 앞으로도 디지털 행정 혁신에 기여하며 국가 기술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