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하은 기자 | KB국민카드에 이어 롯데카드 등 카드업계가 본인확인서비스 중단에 나서고 있다. 통신사에 비해 턱없이 저조한 이용률로 경쟁력이 떨어져 버린 서비스를 굳이 안고 갈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통신사 3사(SKT·KT·LG유플러스) 중심의 인증방식과 민간 인증서의 이용률 확대가 카드사의 본인확인서비스의 입지를 막아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카드사들은 이용률과 편의성 하락으로 서비스 경쟁력을 갖기 어렵다고 판단, 서비스 중단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KB국민카드는 오는 6월30일부터, 롯데카드는 오는 7월31일부터 카드 본인확인서비스를 종료한다.
앞서 비씨카드는 지난 2023년 10월23일부터 해당 서비스를 종료했다.
본인확인서비스는 온라인 또는 모바일에서 본인 확인이나 인증이 필요한 경우, 주민등록번호 대신 본인 명의 휴대폰이나 카드 정보 등 대체수단을 활용해 본인 여부를 확인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민감한 정보인 주민등록번호 도용이나 유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본인확인 방법은 △아이핀 인증 △휴대폰 인증 △신용카드 인증 △인증서 인증 등 4종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인확인기관으로 지정된 곳은 총 25개사로 집계됐다. 이동통신사 3곳과 카드사 7곳, 은행 7곳 등이다. 이중 7개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비씨카드)들은 지난 2017년 말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로부터 신규 본인확인 기관으로 조건부 지정됐다.
방통위 통계에서 2016년 기준 약 11억건이던 본인 확인 수요는 지난해 기준 약 28억건으로 2배 이상 불어났다. 이같은 수요는 SNS, 온라인이 보편회되면서 수요가 지속 증가하는 추세다.
이같은 흐름과는 반대로 카드사들은 저조한 이용률에 서비스 철수를 단행했다. 그도 그럴 것이 카드사 본인 확인 절차가 타 기관에 비해 편의성이 떨어져서다.
카드 본인확인서비스의 경우 자신의 신용·체크카드 번호를 통해 본인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카드번호 16자리와 카드 유효기간, 보안코드(CVC코드)를 입력해 본인확인을 하는 것은 전화번호 입력 방식 대비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스마트폰 앱 카드 실행 후 본인확인번호 6자리를 입력하는 방식도 도입됐으나 번거롭다는 목소리다 지배적이다.
반면 통신 3사의 본인확인서비스의 경우 문자(SMS) 혹은 패스(PASS) 앱을 통한 인증으로, 카드사에 비해 간단하다. 본인인증 창에서 통신사를 선택하고 인증방법으로 문자나 패스 앱을 선택한 뒤 이름·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이후 문자로 온 인증번호를 입력하거나, 패스 앱에서 인증을 진행하면 간편하게 본인인증을 할 수 있다.
카드사들은 가맹점 카드 수수료 인하 등에 따라 본업에서 제 힘을 발휘하지 못하자 본인인증서비스가 새 먹거리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카드업계 기대와 달리 저조한 이용률로 고객 편의 증진 기여도가 낮아 수익성 창출에 제동이 걸렸다.
반면 통신 3사의 본인확인서비스 수요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를 방증하듯 이동통신 3사가 제휴 사업자로부터 받는 본인확인서비스 수수료는 건당 30원가량으로 연간 200억~3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이는 90%를 훌쩍 넘는 점유율이다.
은행이나 빅테크 등 민간 인증서 사업자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미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이 모두 민간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으며, 토스나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 은행과 네이버와 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도 민간 인증서 발급을 통해 수익을 얻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서비스 이용 고객 감소가 가장 큰 이유"라며 "이용률이 저조하다 보니 해당 서비스 유지 비용 대비 수익성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은행의 경우 인증서 발급이 가능하고 본인확인기관으로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보니 카드사랑은 상황이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