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성수 기자 | 동양·ABL생명이 우리금융지주(이하 우리금융) 자회사로 편입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보험사 인수합병(M&A) 시장이 정체된 상황에서 인수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보험사가 많지 않아 조건부 승인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우리금융의 동양·ABL생명 자회사 편입 안건이 상정되는 금융위원회 정례 회의가 이달 중 열릴 예정이다. 이달을 넘기는 경우 다음 달 초 승인 가능성도 거론된다.
16일 보험 업계에서는 우리금융의 동양·ABL생명 자회사 편입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한다. 최근 메리츠화재가 MG손해보험(이하 MG손보)에 대한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반납하면서 이번 우리금융의 보험사 인수까지 불발된다면 금융당국이 부담해야 하는 부담감이 커져서다.
메리츠화재는 지난달 13일 MG손보 매각 우선협상자 지위를 반납하겠다는 의사를 통보했다.
앞서 예금보험공사(이하 예보)는 지난해 12월 MG손보 우선협상대상자로 메리츠화재를 선정하고 실사를 추진했으나 MG손보 노조의 이견 등으로 실사에 착수하지 못했다.
예보가 지난달 11일 메리츠화재, MG손보 노조 및 대표관리인에게 고용수준 등 협의를 위한 회의를 요청했지만 MG손보 노조가 회의에 불참하면서 메리츠화재는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반납을 공문으로 통보했다.
MG손보 인수가 불발된 후 보험사들의 M&A 시장이 침체된 가운데 이번 우리금융의 보험사 인수가 불발된다면 현재 매물로 거론되고 있는 롯데손해보험, KDB생명, BNP파리바카디프생명 등 보험사들의 판매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우리금융은 지난해 8월 28일 이사회를 열고 동양생명 지분 75%와 ABL생명 지분 100%를 약 1조5493억원에 인수한다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승인한 바 있다. 이는 지난해 보험사 M&A 시장 첫 매각 성공 사례다.
우리금융이 동양·ABL생명 대주주인 중국 다자보험그룹과 맺은 인수계약은 올해 8월까지 완료하기로 약속돼 있다. 해당 기간까지 거래가 마무리되지 않으면 1550억원 규모의 계약금을 반환해야 한다.
업계에서는 우리금융이 동양·ABL생명을 인수·합병하기 위해서는 인력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합병 과정에서 희망퇴직이나 노조의 반발 등 갈등이 예상돼서다.
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 소속 동양·ABL생명보험지부 노조원들은 다자보험그룹과 우리금융에게 동양·ABL생명 직원들의 고용 보장과 보장 방안을 제시하라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두 회사 노조는 현재 우리금융 자회사 편입에 대한 보상으로 기본급 1200% 위로금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금융위에게도 빠른 인수합병 절차 승인을 요구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조건부 승인을 검토하고 있지만, 이미 지난해 주식매매계약(SPA) 체결 이후 8개월이 흘러 동양·ABL생명의 건전성이 나빠지고 있어서다.
우리금융은 앞서 진행한 금융감독원의 경영실태평가에서 3등급을 받아 원칙적으로는 자회사 편입 승인이 불가능해 금융위의 조건부 승인을 받아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동양·ABL생명 노조가 인수합병에 대한 빠른 승인을 요구하면서 과도한 위로금과 고용 보장을 주장하고 있어 인수 작업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라며 "합병 이후 경영 안전화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인력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