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불리한 여론지형서 출발…'反이재명' 기치 앞세울 듯

국민의힘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8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서해 수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있다. 2025.3.28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하면서 최장 60일의 조기 대선 레이스가 시작됐다.
윤 전 대통령의 거취와 관련해 지난해 12월 14일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지속돼 온 불확실성이 제거됨에 따라 차기 대권을 놓고 양보 없는 승부가 펼쳐질 전망이다.
헌법재판소가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위헌·위법으로 판단하고 파면을 선고한 만큼, 여론 지형은 일단 현재 원내 제1당이자 윤석열 정부 시절 야당이었던 민주당에 유리한 구도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6일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뒤 동료 의원과 악수하고 있다. 2025.3.26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가 차기 대권주자로서 당내 압도적 우위를 확보한 가운데, 후보 경선에서도 독주 채비를 갖췄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일찌감치 형성된 '이재명 대세론'이 대선까지 유지될 것이라는 데 큰 이견은 없어 보인다. 이 대표가 지난달 26일 공직선거법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으면서 대권가도의 가장 큰 장애물이 제거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1심과 마찬가지로 2심에서도 의원직 상실형이 나왔다면 대세론에 제동이 걸릴 수 있었겠지만, 2심의 무죄 판결로 이 대표는 기사회생했다.
김동연 경기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두관 전 의원 등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의 행보도 주목된다.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산불재난대응 특별위원회 긴급회의에서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비상계엄에 대한 부정적 여론, 당 소속 대통령이 두차례 연속 파면됐다는 정치적 부담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조기 대선의 최대 과제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때와 달리 보수층이 응집력을 보였지만, 선거의 승패를 가를 중도·무당층을 흡수하는 데는 한계를 노출한 딜레마적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은 조기 대선을 이끌어갈 동력을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서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여론조사에서 대선후보 지지도 1위를 달리는 이 대표가 공직선거법 항소심에서 무죄를 받긴 했지만, 남은 사법 리스크 등을 앞세워 '반(反)이재명' 정서 결집을 노릴 전망이다.
국민의힘 대권주자들은 저마다 '이재명 대항마'를 자처하며 몸풀기에 나섰다.
여론조사 상 당내 주자 중 선두로 나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을 비롯해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대표, 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이 꼽힌다.
이들은 '87년 체제' 극복을 위한 개헌을 약속하면서 이 대표를 포위 공격하는 동시에, 치열한 당내 경선을 거치면서 '컨벤션 효과' 극대화를 노릴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대표 출신으로 대권 도전을 선언한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이 보수 진영의 표를 얼마나 가져갈지, 그가 국민의힘 후보와 단일화할지도 주목할 변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