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판매 단기채권 6000억원 중 개인 판매 2000억원대
상태바
홈플러스 판매 단기채권 6000억원 중 개인 판매 2000억원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민국 의원실 "개인·일반법인에 팔린 금액은 5400억원…피해 '눈덩이'"
금융당국 '사기 발행' 규명에 주력…증권사·신평사 거쳐 MBK도 곧 검사

컨슈머타임스=이승구 기자 |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홈플러스 단기채권 규모가 2000억원대에 달하고, 일반법인 판매분까지 합친 리테일(소매) 판매 규모는 5400억원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즉, 홈플러스 채권 판매잔액 6000억원 중 대다수가 개인·일반법인에 떠넘겨진 셈이다.

특히 홈플러스 매장을 기초자산으로 한 1조원대 리츠(부동산투자회사)·부동산 펀드 등에도 개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상당 규모 묶여있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피해 규모가 급격히 커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업권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조사·분석한 결과, 지난 3일 기준 홈플러스 기업어음(CP)·카드대금 기초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단기사채 등 단기채권 판매잔액은 총 5949억원이다.

이 중 증권사 일선 지점 등을 통해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규모는 2075억(676건)으로 파악됐다. 일반법인에 판매된 규모는 3327억(192건)이다. 기술·전자·해운업 등을 영위하는 중소기업들이 주로 홈플러스 단기채권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채권 대부분이 대형 기관투자자가 아닌 개인 및 일반법인에 판매된 것으로 드러난 만큼 불완전판매 의혹 등이 제기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이미 준비하면서도 채권을 발행해 개인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떠넘겼다면 대형 형사 사건으로 번질 수도 있다.

실재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을 신청한 지난달에만 총 11차례에 걸쳐 1807억원의 단기채권을 발행한 바 있다. 종류별로 보면 ABSTB 발행이 1517억원(4회)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단기사채(160억원·4회), CP(130억원·3회) 등의 순이었다.

이와 함께 홈플러스 매장을 자산으로 편입한 부동산투자회사(리츠)나 부동산 펀드에서도 대규모 개인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홈플러스는 우량 점포를 팔아 현금화하고, 이를 다시 빌려 영업하는 '매각 후 재임차(세일 앤드 리스백)' 전략을 써왔다. 이 같은 유형의 점포를 자산으로 편입한 리츠는 홈플러스로부터 임대료를 받아 투자자들에게 배당해왔는데, 홈플러스가 임대료를 미지급하기 시작하면 투자자들 손실이 본격화할 수 있다.

정부는 홈플러스 점포를 기초 자산으로 둔 리츠와 펀드 규모를 1조원대 수준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하락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단기 채권을 발행해왔는지를 규명하는 데에도 주력하고 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 13일 홈플러스 유동화증권 발행 주관사인 신영증권과 신용평가사들을 상대로 검사에 착수한 상태다. 홈플러스와 MBK가 신용등급이 강등될 것을 미리 인지했거나 회생신청 계획을 미리 세우고도 채권 발행을 지속했다면 사기적 부정거래 등을 적용해 법적 처벌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이번 주까지 증권사와 신평사 검사를 진행하고, 필요하면 연장 검사 등을 통해 사실관계를 분석할 계획이다. 이 때문에 이르면 이달 중 MBK파트너스에 대한 검사 착수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강 의원은 "신용등급 하향 후 자금조달 경색 우려로 단 5일 만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는 어불성설"이라며 "최소 2월에는 회생 절차 신청을 준비했으며, 이 과정에서 투자자 피해는 무시한 채 단기물을 2천억원 가까이 발행한 것은 사기로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