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R 공포'에 미국 증시 비명…시총 4조달러 증발
상태바
트럼프발 'R 공포'에 미국 증시 비명…시총 4조달러 증발
  • 인터넷팀 admin@cstimes.com
  • 기사출고 2025년 03월 11일 10시 47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변동성 확대 우려…트럼프 '경기침체 가능성' 배제 안 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미국 주식 시장 시가총액이 지난달 고점에서 4조달러(약 5천832조원) 증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선을 확대하면서 나홀로 탄탄한 흐름을 유지해온 미국 경기가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주식시장을 주저앉혔다.

◇ S&P 고점 대비 8.6% 하락…시총 4조달러 증발

10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70% 급락했다. 올해 들어 최대 낙폭이다.

이에 따라 S&P 500 지수는 지난달 19일 사상 최고치 대비 8.6% 후퇴한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지수 종목 편출입까지 반영하면 10% 가까이 빠진 셈이다.

이 기간 지수 편입 종목들의 시가총액은 4조달러 증발했다.

이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도 4.00% 폭락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으로 1만8천선이 무너졌다. 이날 낙폭은 2022년 9월 이후 2년 6개월 만에 최대다. 나스닥 지수는 작년 12월 사상 최고치 대비 10% 넘게 하락하며 기술적 조정 영역에 들어섰다.

뉴욕증권거래소

지난해 중반부터 증시 약세를 전망해온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윌슨은 관세 부과와 재정 지출 축소로 인해 기업 실적이 감소하면서 올해 상반기 S&P 500 지수가 5,500선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만일 미국이 경기 침체에 빠진다면 S&P 500 지수가 20%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보면서 "우리는 거기에 있지 않지만, 상황이 빠르게 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JP모건과 RBC 캐피털 마켓 등 월가 은행의 시장 예측가들도 트럼프의 관세로 인해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올해 강세 전망을 완화했다.

◇ 하방 압력 요인은…무역전쟁에 경기침체 우려

이날 주식 시장 폭락은 경기 침체(recession)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촉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방송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경기 침체를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그런 것에 대해 예상하는 것을 싫어한다"며 "(이런 일에는) 과도기(transition)가 있다. 우리가 하는 것은 부(富)를 미국으로 다시 가져오는 큰일이며 이것(성과를 만드는 것)은 시간이 조금 걸린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선을 확대하고 상대국들의 보복 조치가 잇따르는 가운데 소비와 기업 투자에 불확실성이 짙게 드리우면서 올해 미국 경기가 침체로 돌아설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에서 커지고 있던 터에 나온 발언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기자회견에서 '주식 시장의 반응 때문에 관세를 유예했느냐'는 물음에는 "난 시장을 보지도 않는다. 장기적으로 보면, 지금 벌어지는 일들 덕분에 미국은 매우 강한 나라가 될 것"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전쟁 격화 우려를 낳는 관세 정책을 밀어붙이면서 주식시장 등이 흔들리고 있지만 이를 "약간의 혼란"으로 치부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대목이다.

시장 일각에서는 관세 부과가 목표치(2%)를 향한 둔화 흐름을 멈춘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해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이 덮칠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