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족 대표 "재발방지 위해 사고 원인 밝혀져야"

컨슈머타임스=이승구 기자 | 제주항공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로 세상을 떠난 179명의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49재 합동위령제가 유가족들의 눈물 속에 거행됐다.
유가족들은 "사랑하는 가족들의 소중한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사고 원인을 밝혀내고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발생 49일째인 15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분향소에서는 참사 희생자들을 기리는 49재 합동위령제가 열렸다.
이날 합동위령제에는 유가족을 비롯해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김영록 전남지사, 강기정 광주시장, 전남 각지 시도민 등 700여 명이 참석했다.
또한 지역 정치인, 종교인들도 망자의 극락왕생을 비는 불교식 장례 의식인 49재에 함께 했다.
위령제는 유가족의 헌화·분향으로 시작했다. 유가족들은 희생자들의 사진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눈물 속에서 꽃을 바치며 이들의 넋을 기렸다.
또한 참사 당시 사고 현장에 투입돼 희생자들을 수습했던 소방 공무원들과 유가족들을 지원했던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도 참여해 희생자들을 애도하며 안식을 빌었다.
특히 사고 직후 공항으로 달려와 희생자들의 생사를 확인하거나 시신 인도를 기다리는 49일간의 유가족 모습이 대형스크린을 통해 영상으로 송출되자 공항은 또 한 번 눈물바다가 됐다.
박한신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가족협의회 대표는 이날 추모사에서 "시간이 흘러도 유가족들은 12월 29일 그날의 아픔 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며 "사랑하는 이들의 소중한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사고 원인을 밝혀내고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철저한 조사로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 안전을 강화하겠다"며 "무엇이 잘못됐고 바뀌어야 하는지 그 답을 찾을 때까지 유가족의 편에서 함께 하겠다"고 약속했다.
유가족 일부는 이날 오후 2시 광주 무각사 지장전에서 열리는 대한불교조계종의 49재 봉행에 참여해 희생자를 재차 기리고 안전 사회를 기원했다.
장례 절차를 마친 뒤 돌아온 공항에서 머무는 유가족 20여 명은 이번 추모 행사가 끝나도 공항에 남아 밝혀지지 않은 사고 원인 등 향후 절차를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9시 3분께 태국 방콕에서 출발해 무안공항으로 향하던 제주항공 7C2216편이 동체 착륙한 뒤 공항 시설물과 충돌하는 사고가 났다.
이 사고로 탑승자 181명 중 승객 175명과 조종사·승무원 각 2명 등 179명이 현장에서 사망했고, 2명(승무원)은 기체 꼬리 쪽에서 소방 당국에 의해 구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