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가격 약세 본격화?…1월 전국 부동산 하락거래 비중 45%
상태바
아파트 가격 약세 본격화?…1월 전국 부동산 하락거래 비중 4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거래시장이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아파트 가격 역시 약세를 보이고 있다.

10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1월 거래 중 전국 44.9%는 종전 거래가격과 비교해 낮은 가격에 거래된 것으로 집계됐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하락거래 비중이 2024년 12월 43.4%로 집계되며 상승거래 비중보다 높아졌고, 올해 1월도 4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여전히 상승거래 비중이 높은 가운데 경기와 인천 아파트 거래가격이 약세를 보이면서 수도권 하락거래 비중을 높였다. 

특히, 금천구(66.7%), 노원구(55.7%)에서 하락거래 비중이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구축 중소형 면적 위주로 거래가 이뤄졌지만 거래가격은 종전 가격보다 낮았다. 

경기지역에서는 성남시 수정구(61.5%), 이천시(61.1%), 안산시 상록구(61.0%), 동두천시(60.0%), 의왕시(55.9%), 용인시 처인구(51.8%), 의정부시(50.8%), 파주시(50.4%), 고양시 일산동구(50.0%)가 1월 아파트 거래의 절반이상이 종전거래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손바뀜이 이뤄졌다.

인천은 중구(52.8%), 남동구(51.6%)의 하락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었고, 연수구도 49.3%로 절반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광역도시는 지난 2024년 11월 하락거래 비중이 44.8%를 차지하며 상승거래 비중(42.7%)보다 높아졌다. 2025년 1월에는 이 수치가 더 높아지며 45.6%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대전 49.2%, 제주 49.0%, 부산 47.1%, 대구 46.3%, 충북 46.3%, 충남 46.1%, 경북 46.0%, 강원 45.9%, 경남 45.2%, 전북 45.2%, 전남 44.4%, 세종 44.3%, 광주 43.8%, 울산 41.7% 순이다.

2024년 11월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감소한 이후 새해가 됐지만 줄어든 거래량은 늘어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3개월 연속 감소세다. 올해 1월 첫 달 거래량은 1만8,719건으로 집계된 가운데 거래 신고 기한이 30일인 점을 감안해도 거래량은 적은 숫자라는 게 직방 측의 설명이다.

직방 김은선 빅데이터랩실장은 "경기 침체, 정국 불확실성, 금리 인하 지연 등의 영향으로 매수 관망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움츠린 거래 시장이 쉽사리 살아나긴 어려운 환경"이라며 "특히 지방은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지난해 말 2만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 더욱 불안한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인구 감소, 수요 감소, 지역 경제 불안 등으로 수요가 제한된 가운데 준공 후 미분양까지 더해져 거래시장의 위축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수도권은 매수 관망세가 짙은 가운데 일부 단지의 거래는 이어지고 있어 국지적인 수요로 상승세가 혼재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