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내 소형 상용차 등록 최대 32%↓…환경규제·수요정체 여파
상태바
작년 국내 소형 상용차 등록 최대 32%↓…환경규제·수요정체 여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왼쪽부터) 기아 봉고3 LPG와 현대 포터2 LPG

컨슈머타임스=강나연 기자 | 국내 탈탄소화 규제와 캐즘(일시적수요정체)이 겹치면서 지난해 국내 소형 상용차 등록이 크게 위축됐다.

전기 소형 상용차는 다른 차종 대비 많은 보조금에도 짧은 주행거리와 충전 제한이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 '포터2'는 지난해  7만271대가 신규 등록되면서 전년(9만9232대) 대비 29.2% 감소했다.

기아 '봉고3'도 지난해 4만2401대의 등록 대수를 기록했다. 전년 6만2384대에서 32.0% 줄어들었다.

국산 소형 상용차인 포터2와 봉고3의 판매량 급감 원인으로는 지난해부터 적용된 환경 규제가 지목된다.

지난해부터 대기환경개선특별법에 따라 1t 경유 트럭의 신규 등록이 금지되자 현대차·기아는 2023년 말 1t 트럭인 포터2와 봉고3의 경유 모델을 단종하고, 액화석유가스(LPG) 모델로 대체한 바 있다.

두 소형 상용차가 LPG와 전기차 모델만 보유한 상황에서 LPG 모델이 기존 경유 모델 수요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면서 판매량이 급감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LPG차는 환경 면에서는 경유차보다 나을 순 있어도 출력과 연비가 떨어진다. 이는 상용차로서 큰 단점"이라며 "이전 소형 상용차가 대부분 경유차였던 것을 생각하면 아직 이를 대체하기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더해 전기 소형 상용차 등록 대수도 크게 줄었다.

포터2 일렉트릭 신규 등록 대수는 2023년 2만5806대에서 지난해 1만1251대로, 절반 넘게 줄었다. 감소율은 56.4%에 달한다.

봉고3 EV 등록 대수는 1만5112대에서 6015대로 60.2% 급감했다.

소형 상용차는 택배 등 물류 업계 수요가 높아 운행 거리가 많지만, 전기 소형 상용차는 1회 충전 최대 주행거리가 230㎞정도에 불과하다. 또 완속 충전만 가능하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전기 소형 상용차는 보조금을 2배 이상 주며 판매를 장려했다"며 "하지만 이용자들이 기존 경유차에 더해 전기차를 구매하면서 단거리는 경유차로, 장거리는 전기차로 운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환경적으로 전혀 좋은 면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또 짧은 주행거리와 완속 충전도 상용차 이용자 불편을 야기했다"며 "배터리 용량을 키우거나 급속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등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