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 신도시 선도지구' 지정 임박…시작도 전에 '삐걱'?
상태바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지정 임박…시작도 전에 '삐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당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연합]
분당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연합]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분당, 평촌, 일산 등 1기 신도시 재건축에 앞선 선도지구 지정이 한달 앞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선도지구 지정과 관련한 지역별 온도차,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의 미흡한 대책마련 등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오히려 선도지구 지정에 대한 기대감으로 집값만 올렸다는 지적도 나온다.

30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다음달 분당(성남), 일산(고양), 평촌(안양), 산본(군포), 중동(부천) 등 수도권 1기 신도시 선도지구가 선정된다. 선도지구는 총 2만6000가구 규모가 될 예정이다.

선도지구 선정 공모에 제안서를 제출한 구역은 5개 신도시 162개 구역 중 99개 구역이다. 선정 총규모인 2만5000만 가구 대비 5.9배인 총 15만3000가구에 달하는 수치다. 그만큼 시장의 기대감이 높다는 것을 입증한 셈이다.

당초 선도지구로 선정되는 단지는 오는 2026년 이주를 시작해 2027년 착공에 들어간다는 계획이었다. 신도시 내 아파트 단지의 입장에선 선도지구로서의 상징성과 빠른 사업진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인 셈이다.

이에 분당 등지를 중심으로 재건축 선도지구 지정을 위한 신탁방식 재건축 추진 등이 경쟁적으로 이어지며 과열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주민을 위한 이주대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며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사업에 물음표가 붙었다. 관할 지방자치단체는 주변 택지지구 조성을 통해 이곳에 이주를 시키겠다는 계획이나 단기적으로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토부는 이주대책으로 영구임대주택을 재건축해 임시로 재건축 이주 수요를 흡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나, 국회 예산정책처는 "일반 주민보다 임대거주자들이 먼저 고려돼야 한다"며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업계에선 선도지구 지정 단지에서도 어디가 먼저 이주할지 순서가 정해지지 않아 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꼬집고 있다. 이미 선도지구 지정을 위한 작업이 어느 정도 이뤄진 상황에서 가장 기본적인 이주문제도 해결하지 못하게 되면 시장의 반발도 커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설상가상으로 선도지구 지정에 대한 기대감으로 집값 상승만 부추겼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9월 한 달 동안 성남시 분당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0.90% 올랐고, 평촌 신도시가 속해 있는 안양시 동안구 아파트값도 0.60%, 중동 신도시가 포함된 부천시 원미구 아파트값도 0.45% 상승했다. 

반면 일산의 경우 1기 신도시 선도지구와 관련된 기대감 대신 반발이 커지면서 분위기의 온도차를 나타내며 양극화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선도지구 지정 소식으로 분당의 경우 모든 단지들의 거래가 수억원 이상 올라 진행되는 분위기"라며 "그러나 일산 등 선도지구 지정에 미온한 분위기인 1기 신도시들은 오히려 가격이 하락하는 등 양극화된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선도지구 지정이 임박한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이주대책이 제대로 수립되지 않은 점은 우려되는 사항"이라며 "과연 정부가 내놓은 타임라인대로 이행이 이뤄질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