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시장 등에서 유통되는 배추 한 포기 가격이 2만원으로 치솟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조사하는 평균값과 격차가 두배가량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천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A씨는 23일 연합뉴스에 "오늘 거래처에서 배추 세 포기를 4만5천원에 떼왔다. 동네 재래시장에 가면 배추는 포기당 2만3천원 정도"라며 "우리는 배추를 재료로 써서, 비싸다고 안 쓸 수가 없다"고 한숨을 쉬었다.
이날 자영업자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배춧값을 두고 '양배추만 한 배추가 한 포기에 2만원', '배추 가격이 미쳤다'는 등의 게시글이 잇따랐다.
실제 강북구의 한 재래시장에서 이날 배추는 2만원 정도에 살 수 있었다. 크기가 작은 것은 네 개에 3만원에 팔기도 했다.
시장에서 만난 한 상인은 "지금은 비싸니 좀 있다 오라"고 귀띔했다.
그러나 이날 aT가 재래시장과 대형마트, 하나로마트 등 각 유통사에서 조사한 배추 가격은 한 포기에 평균 9천321원이었다. 소비자 체감 물가와는 차이가 있는 셈이다.
이는 aT의 1년 전 조사 가격과 비교하면 50.5% 비싸고 평년과 비교하면 29.2% 높은 수준이다. 평년 가격은 2019년부터 작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이다.
또 대형마트 등에서 실시하는 할인 행사 등으로 가격이 소매가격이 내려간 측면도 있다. 실제 도봉구 농협 하나로마트 창동점에서는 회원 대상으로 오는 25일까지 배추를 한 포기에 8천720원에 판매하는 행사를 열고 있었다.

[촬영 신선미]
이런 배춧값 강세는 이달 중순까지 폭염이 이어진 데다 일부 재배지에서 가뭄이 겹치면서 물량이 부족해진 데 따른 것이다.
식품업체도 배추 수급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포장김치 제품 공급이 불안해진 상황이다.
대상은 지난 19일 자사몰인 정원e샵에 "현재 원물 수급 이슈로 종가 김치 생산·출고가 지연되고 있다"며 "영업일 기준 3∼5일 이상 배송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는 공지했다.
CJ제일제당은 자사몰 CJ더마켓에서 '비비고 포기배추김치 1.8㎏', '비비고 보쌈김치 400g' 등 일부 제품을 '품절'로 표기하고 상품 판매를 중지했다.
이마트몰에서도 'CJ 비비고 썰은 배추김치 800g', '피코크 조선호텔 비건 김치 400g' 등 제품 판매가 중단됐다.
앞선 폭염 여파로 채솟값은 전반적으로 강세다.
aT 조사 기준 시금치 소매가격은 100g에 3천381원으로 1년 전, 평년과 비교해 각각 87.5%, 120.7% 올랐다.
무 소매가격은 1개에 3천921원으로 1년 전보다 66.9% 올랐고 평년과 비교해 42.8% 비싸다.
적상추 소매가격은 100g에 2천153원으로 1년 전보다 34.0% 비싸고 평년과 비교해 41.0% 비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