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형 스마트쉼터·횡단보도', 2024년 OECD 공공부문 혁신 사례 선정
상태바
'성동형 스마트쉼터·횡단보도', 2024년 OECD 공공부문 혁신 사례 선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성동형 스마트쉼터·횡단보도'가 OECD 누리집(OPSI)에 소개된 모습 [사진= 성동구 제공]
▲ '성동형 스마트쉼터·횡단보도'가 OECD 누리집(OPSI)에 소개된 모습 [사진= 성동구 제공]

컨슈머타임스=김동역 기자 | 서울 성동구는 지난 24일 '성동형 스마트쉼터·스마트횡단보도'가 2024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공공부문 혁신 사례에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OECD는 전 세계에 공공 분야 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혁신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2011년부터 공공혁신협의체(OPSI)를 운영하며 매년 전 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공공부문 혁신 사례를 공모해 발표하고 있다.

선정된 혁신 사례는 OECD 누리집(OPSI)에 공개되며, 현재 98개국 990건의 혁신 사례가 OECD 회원국 등 국제 사회에 소개 및 공유되고 있다.

올해 공모에서는 83개국에서 800여 건의 혁신 사례가 제출되었으며, 총 86개의 사례가 선정됐다. 그중 성동구의 '성동형 스마트쉼터'와 '스마트횡단보도'가 선정되었으며,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성동형 스마트쉼터'와 '스마트횡단보도'는 첨단기술을 접목해 생활 속 편의와 안전을 확보하고, 주민들의 참여와 민·관 협업을 통해 도시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에서 특히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성동형 스마트쉼터'는 폭염과 한파로부터 대중교통 이용객을 보호하는 미래형 버스정류장으로 성동구를 대표하는 스마트 생활밀착 시설 중 하나다. 기존의 버스승차대 기능에 스마트 기술을 접목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공공 와이파이, 휴대폰 충전 등 18종의 다양한 생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마트 횡단보도'는 스마트 조명, 차량번호 자동 인식, 보행신호 음성 안내 보조장치 등 8종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 교통사고를 계기로 어린이, 어르신 등 교통 약자를 보호하고,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성동구는 스마트 정책의 우수성을 널리 공유하기 위해 스마트쉼터, 스마트 횡단보도를 비롯해 스마트 흡연부스, 스마트 빗물받이 등 대표적인 성동형 스마트 사업을 연계해 관광 코스로 만드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성동형 스마트쉼터와 스마트횡단보도가 OECD 공공부문 혁신 사례로 선정된 것은 그동안 꾸준히 추진해 왔던 스마트포용도시 정책의 가치를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