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대외 건전성 지표 개선'…단기외채비율·비중↓
상태바
3분기 '대외 건전성 지표 개선'…단기외채비율·비중↓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남유리 기자 | 지난 3분기 대외금융부채가 크게 줄면서 대외 지급 능력을 반영하는 순대외금융자산이 증가했다. 단기외채 비율과 비중이 모두 낮아져 대외 건전성 지표도 개선됐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23년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대외금융자산은 2조2043억달러로 전 분기 말 2조2251억달러보다 208억달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외금융자산 중 거주자의 해외 직접 투자는 11억달러 줄었다. 증권 투자는 글로벌 주가 하락과 미국 달러 대비 주요국 통화 가치 하락 등의 영향으로 69억달러 감소했다.

3분기 말 기준 대외금융부채는 1조4189억달러로 전 분기 말 1조4611억달러보다 422억달러 감소했다. 이 또한 국내 주가 하락, 미국 달러 대비 원화 가치 하락 등으로 증권 투자가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대외금융부채가 대외금융자산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7854억달러로 전 분기 말 7640억달러 보다 214억달러 증가했다. 이 순대외금융자산 규모는 지난해 3분기 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3분기 말 기준 대외채권은 1조20억달러로 전 분기 말보다 169억달러 줄었다. 계약 만기 1년 이하의 단기 대외채권은 153억달러 감소했다. 이는 중앙은행 준비자산(외환보유액)이 73억달러, 예금취급기관의 대출금이 47억달러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장기 대외채권은 기타 부문의 부채성 증권이 39억달러 줄어 전체적으로 15억달러 감소했다.

대외채무는 지난 2분기 말 6651억달러에서 3분기 말 6493억달러로 157억달러 줄었다. 만기별로 단기외채가 203억달러 줄었고, 장기외채가 46억달러 늘었다.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3분기 말 기준 3527억달러로 전 분기 말 3538억달러보다 11억달러 감소했다.

대외 지급 능력을 나타내는 단기외채 비율(단기외채/준비자산)은 2분기 말 기준 38.4%에서 3분기 말 34.2%로 하락했다. 단기외채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결과로, 2019년 4분기 말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외채 건전성을 나타내는 단기외채 비중(단기외채/대외채무)도 2분기 말 기준 24.3%에서 3분기 말 21.8%로 1994년 4분기 말 관련 통계 편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