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해외공동물류센터, 올해 30억 달러 수출 '예상'
상태바
코트라 해외공동물류센터, 올해 30억 달러 수출 '예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해외공동물류센터 통해 중소·중견기업 1,700개사 넘게 수출...적기 납품, 비용 절감
선박·항공화물 운송지원, 빅데이터 기반 물류난 선제적 대응, 합리적 물류계획 수립 지원
KOTRA(코트라)
KOTRA(코트라)

[컨슈머타임스 안우진 기자] 올들어 9월까지 중소·중견기업이 KOTRA 해외공동물류센터를 통해 22억 달러 넘게 수출했다.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54% 늘어난 수치다. 연말까지 수출이 1,700여 개사, 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KOTRA는 세계 각지의 물류사와 공동으로 78개국에 중소·중견기업 전용 공동물류센터를 238곳 운영하고 있다. 해외에 자체 물류창고가 없는 수출기업이 화물을 보관하고, 통관, 반품 처리, 라벨링, 포장, 온라인 판매 등 마케팅까지 거뜬히 해결하게 하기 위해서다.

S사는 해상운송기간이 길어서 유럽 바이어의 긴급 주문에 대응하지 못했지만, KOTRA 암스테르담 공동물류센터를 이용한 후 이 문제를 자연스럽게 해결했다. 공동물류센터에 화물을 두면서 2개월에서 1주일로 납기를 획기적으로 줄였다. 일본에 놀이매트를 판매하는 스타트업 P사는 놀이매트 부피가 커서 보관료와 운임이 부담됐지만, 공동물류센터가 제공하는 할인혜택을 받아 부담을 덜었다.

KOTRA는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전 세계 14개 노선 45개 기항지 선복을 매주 19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씩 제공해 왔다. 올해 10월까지 180건, 1,019TEU를 이용했다. 지난 5월부터 KOTRA는 대한항공과 함께 나리타와 프랑크푸르트행 화물기의 선적공간을 매주 총 12톤씩 중소기업 수출화물 전용으로 제공하고, 할인 혜택도 주고 있다. 올해 10월까지 7,184kg의 화물을 수출했다.

KOTRA 관계자는 "팬데믹 이후 물류 업계의 주요 화두는 물류 디지털화와 공급망 교란에 대한 대비"라며 "KOTRA가 디지털 물류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공급망 물류를 지원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KOTRA는 화물의 이동 경로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빅데이터 기반 화물위치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물류비를 절감하는 방안과 포워더 발굴을 도와주는 '찾아가는 물류 컨설팅'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KOTRA는 물류 현황에 대한 가시성을 높이고 기업이 해외 항만 적체 추이를 예측하도록 돕고 있다. 상하이, LA 등 전 세계 70개 항구의 주간 일평균 혼잡 상황을 수치화해 3만 개사에 매달 배포한다.

식품가공 U사는 바이어가 빈번한 선적일정 변경으로 인한 도착 지연 상황을 물을 때마다 물류사를 통해 정보를 받아야 해 대응이 더뎠다. 하지만, KOTRA가 제공하는 실시간 화물 위치 추적 서비스를 받으면서 정확한 정보를 바로 제공할 수 있었다. 물류비 인상으로 어려움을 겪던 C사는 '찾아가는 물류 컨설팅'을 받은 후 인천-상하이 선박운임 20%와 상하이 현지 화물 보관료를 12%를 절감하고 대신 이 비용을 마케팅에 투자했다.

유정열 KOTRA 사장은 "물류로 인한 수출애로를 겪지 않도록 물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곳을 찾아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해외공동물류센터를 확충하고, 스마트한 물류지원 사업을 통해 우리 기업이 수출 경쟁력을 높이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