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 안솔지 기자] 마약 밀수 단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마약 탐지견이 신종 마약에 취약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기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최근 5년간 관세청이 단속한 마약밀수 총 3332건 중 4분의 1이 넘는 27%가 마얀 탐지견에 의해 이뤄졌다.
하지만 현재 마약 탐지견으로 탐지할 수 있는 마약 종류는 대마·해시시·코카인·헤로인·메스암페타민(필로폰)·MDMA 등 6종 뿐이다.
국내 마약류 밀수 규모에서 신종 마약 밀수는 2019년 44kg에서 2020년 21kg, 2021년 143kg 등 최근 들어 급증하는 추세다. 성범죄에 악용돼 악명을 떨치는 GHB는 2021년 한 해 적발량만 29kg에 달했다.
마약 탐지견 양성 및 운영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신종 마약에 취약한 만큼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양 의원은 "마약의 종류도 다양화되고 유통량도 많아지는 가운데 단속 방법과 감시기제의 혁신이 필요하다"며 "첨단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통관체계를 구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컨슈머타임스(Consumer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