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 김윤호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이 처음으로 6%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개정된 자본시장법의 영향으로 주요 기업의 여성 임원이 꾸준히 늘었고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양성평등지수도 향상됐다.
㈔위민인이노베이션(Women In Innovation·WIN)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이러한 내용이 담긴 국내 주요 기업 양성평등지수 평가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353개사를 대상으로 양성평등지수를 평가한 결과 이들 기업의 양성평등지수는 평균 56.7점으로 지난해보다 4.8점 높아졌다.
양성평등지수 우수기업으로는 CJ제일제당, 아모레퍼시픽, 영원무역, 이랜드월드, KB생명보험, 크래프톤, 하나은행, 한국씨티은행, 한미약품, 한세실업(이상 가나다순) 등 10곳이 선정됐다.
업종별로는 생활용품, 은행, 제약, 서비스 업종의 점수가 높았다.
양성평등지수는 고용, 근속연수, 급여, 임원, 등기이사, 고위관리자 직위 등 총 6개 항목에서 남녀 간 차이가 작고 여성 직원 관련 제도가 우수한 기업에 높은 점수가 부여된다.
항목별로 보면 여성 임원 비중이 가장 크게 개선됐다.
올해 1분기 기준 여성 임원의 비율은 6.3%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p) 상승했다.
여성 임원 비율이 6%를 넘은 것은 개정된 자본시장법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이 여성 사외이사를 대거 영입했기 때문이다. 지난달부터 시행된 새 자본시장법은 자산총액이 2조원 이상인 상장사의 이사회를 특정 성(性)이 독식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